학술논문
디지털 방사선장치에서 흉부검사 시 복합 부가filter 사용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이용수 24
- 영문명
- A study on the usefulness of the use of composite additional filters in Chest digital radiography
- 발행기관
-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 저자명
- 김신구(Shin-Ku Kim):김상현(Sang-Hyun Kim) 대창민(Chang-Min Dae) 민관홍(Kwam-Hong Min)
- 간행물 정보
-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논문지』2016년 춘계학술대회 논문지, 81~9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3.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 적 :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방사선장치에서 흉부검사시 Al과 Cu를 이용한 부가filter의 사용이 영상화질과 선량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적합한 부가filter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X-선 장비를 이용하여 부가filter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부터 Al 1mm, 2mm, Cu 0.1mm, 0.2mm, 0.3mm와 Al 1mm와 Cu 0.1mm, 0.2mm, 0.3mm을 각각 더한 filter와 Al 2mm에 Cu 0.1mm, 0.2mm, 0.3mm을 더한 filter에 60kVp 부터 10kVp씩 올려 120kVp까지의 조사선량을 측정하였다. 물리적 평가를 위해 DIGRAD 팬텀으로 ROI 값을 설정하여 SNR과 CNR을 구하고 실제 임상에서의 사용을 위해 Chest Phantom에 Focus-to-Image Receptor Distance(FID)를 180cm로 고정하고 자동노출조건 (Automatic Exposure Control ; AEC)을 이용하여 SNR과 CNR 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조사선량 측정 결과 부가filter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가장 조사선량이 높았고 Cu 0.3mm + Al 2mm를 사용했을 때 가장 선량값이 낮았으며 부가filter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를 제외하고는 Al 1mm에서 선량값이 가장 높았다. DIGRAD phantom을 이용한 물리적 평가에서는 SNR 값은 30.22~35.99로 전체적으로 비슷했으나 60kVp에서는 Al 1mm에서 37.13으로 가장 높았다. 그러나 다른 관전압에서는 모든 filter에서 값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CNR 값은 4.60~7.81로 전체적으로 비슷했으나 관접압이 증가할수록 CNR 값이 낮아졌다. 흉부팬텀을 이용한 영상평가에서는 Lung 과 Heart, Subdiaphragm
모두 Cu filter만 사용했을 때보다 Al을 섞어 사용하였을 때 SNR 이 높은 양상을 보였고, CNR 은 Lung과 Heart
에서는 Al을 제외하고는 kVp가 올라갈수록 값이 낮아졌다. Subdiaphragm에서는 60kVp에서만 값이 높았고, 60kVp를 제외한 나머지 값들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결 론 : 부가filter를 사용하면 우수한 영상화질 얻을 수 있고 환자가 받는 피폭선량 또한 줄일 수 있다. Al 이나 Cu filter의 독립적 사용보다는 Al 과 Cu filter를 적절히 사용하여 관전압, 검사부위에 따라 적절한 부가filter의 두께의 사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Purpose : In this study, when using Al and Cu additional filter which is the one of the methods of dose reduction, evaluated the physical evaluation and the optimization of Chest image.
Materials and Methods : Using the X-ray device with a state that does not use an additional filter, Al 1mm 2mm, Cu 0.1mm, 0.2mm, 0.3mm and Al 1mm added Cu 0.1mm, 0.2mm, 0.3mm and Al 2mm added Cu 0.1mm 0.2mm, 0.3mm ,measured the radiation dose up to 120kVp from 60kVp by 10kVp. Using by DIGRAD phantom for physical evaluation, ROI value
was set for gaining SNR and CNR compared analyzed the SNR and CNR. Focus-to-Image receptor Distance (FID) is fixed to 180cm and used the automatic Exposure control.
Results : In a dosimetry, the result of radiation dose showed the lowest when using Cu0.3mm+Al2mm filter. The radiation dose was the highest when using Al 1mm filter except using non-filter. In a physical evaluation using DIGRAD phantom, the value of SNR had generally similar about 30.22 to 35.99, at 60kVp, it was the highest value 37.13 at Al 1mm. However, in other tube voltage, the values in all the filters become equally apparent. CNR value was 4.60 to 7.81, but showed generally similar. CNR value has dropped whereas tube voltage is increased. When evaluating the image using with the Chest phantom, in Lung, Heart, Subdiaphragm, SNR showed the higher when using Cu + Al than using Cu filter only. In the case of CNR, in Lung and heart the higher the KvP, the lower result has shown. In Subdiaphragm, CNR was high at 60kVp only, except 60kVp, the other results were similar
Conclusion : With the additional filter, not only lowering the radiation dose, but also good image quality can be obtained. And the dose the patient received can be reduced. Rather than using Al or Cu filter independently, it is considered to use the appropriate mixed Al and Cu filter in accordance with tube voltage.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 과
Ⅳ. 고 찰
Ⅴ.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Heel Effect가 영상에 미치는 영향과 감소법
- 유아기 여아의 생식선 차폐체 제작을 위한 골반 지표 계측
- Image pasting 검사 시 SID에 따른 확대율 평가
- 디지털 X-ray 에너지 조건 선택에 따른 요로결석 검출능력 비교
- 소아 상지 X-ray 검사(왼손 성장판 X-ray검사)시 환자의 방사선피폭선량 측정 및 감소활동
- 신생아 감염예방을 위한 비접촉식 차폐도구의 연구
- 방사선 방어용 앞치마의 납당량, 종류에 따른 성능평가
- Long Bone 검사시 촬영 방식에 따른 영상 왜곡률 평가
- 소아 흉부 X-ray 검사 시 Exposure field 조정에 따른 유효선량의 평가
- 소아 투시검사 시 필터 사용에 따른 피폭선량 감소
- 전 척추 측방향 검사 시 경추 filter device에 대한 유용성 평가
- 영상진단 검사 시 발생하는 성희롱에 대한 인식조사
- 디지털 방사선장치에서 흉부검사 시 복합 부가filter 사용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 DR X-선 장비를 이용한 상, 하지 검사 시 촬영거리 변화에 따른 선량감소와 영상의 유용성 평가
- Needle guide를 사용한 입체정위생검술의 유용성에 대한 고찰
- 디지털 무선 검출기를 이용한 이동형 방사선 검사에서 튜브 각도 변화에 따른 노출지수 평가
- 이동식 디지털 흉부 X-선 장비의 중심정맥관 대조도 증강 영상에 대한 고찰
- 검사 방법에 따른 Lower Extremity Scanogram의 비교
- 흉부 Phantom을 이용한 Chest PA검사에서 자동 노출방식의 Density와 Sensitivity 설정 값에 따른 영상 및 피폭선량에 대한 고찰
- 일반촬영실 납마커의 오염인식도 및 오염도에 관한 연구
- DR을 이용한 비 외상 환자의 대퇴 경부 측방향 검사 시 최적의 X-선 입사각도 및 환자자세
- 직무순환제도에 따른 직무만족도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임상에서 사용되는 온장고 온도설정 및 한계점에 대한 고찰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무증상 치밀 유방 여성에서 인공지능 기반 컴퓨터 보조 진단 장치의 유용성 연구
- 방사선치료 임상실습 환경에 따른 방사선(학)과 학생의 학습 효과 분석
- 딥러닝을 활용한 한국형 유방초음파 영상 정상-종괴 구분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