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Needle guide를 사용한 입체정위생검술의 유용성에 대한 고찰
이용수 10
-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Stereotactic Mammotome Biopsy using Needle Guide.
- 발행기관
-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 저자명
- 이은혜(Eun-Hye Lee):장동혁(Dong-Hyuk Jang):문영주(Young-Ju Moon):권영호(Young-Ho Kwon)
- 간행물 정보
-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논문지』2016년 춘계학술대회 논문지, 149~156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3.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 적 : 입체정위 생검술을 일반적인 방법으로 시행하였을 때와 needle guide를 사용하여 시술을 진행했을 때의 차이를 비교해 봄으로써 초기 유방암 진단 효과의 유용성을 평가 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11년 11월 25일부터 본원을 내원한 여성 환자 가운데 유방촬영 장비를 이용하여 입체정위 생검술을 시행한 8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49.5 ± 6.7 이었다. 두 가지 방법의 전체 시술 시간, 실제 시술 시간, 흡수선량을 비교하고, 영상의학과 전문의의 판단으로 생검이 가능한 유방 두께를 조사하였다. 또한 연구 대상의 유형을 병변이 생기는 위치, 유방의유형, BI-RADS Category에 따라 구분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결 과 : 병변의 위치, 유방의 유형, BI-RADS Category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유방의 두께는 일반적인 방법과 Needle guide를 이용한 방법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흡수선량은 일반적인 방법이 11.63 ± 3.01로 Needle guide를 이용한 방법의 14.68 ± 4.21보다 적었고(p<0.05), 전체 시술 시간과 실제 시술 시간은 Needle guide를 이용한 방법이 짧게 나타났다(p<0.05).
결 론 : Needle guide를 사용한 방법이 일반적인 방법보다 선량이 더 많다는 것에 제한점이 있으나, 빠른 시간 내에 검사가 이루어지며 시술 후 유방 내 미세 석회화의 잔존유무와 생검한 조직을 한 대의 장비로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조기 유방암의 진단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Purpose : The purpose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treatment in using the general method of stereotactic mammotome biopsy and when using the needle guid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early breast cancer diagnosis.
Subject and Methods : Among the female patients visiting the hospital from November 25, 2011, 83 patients performed with stereotactic mammotome biopsy using the mammography equipment were selected as the subject.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of this study was 49.5 ± 6.7. The total procedure time, actual procedure time,
and absorbed dose of the two methods were compared, and under the decision of the radiologist, the breast thickness possible for biopsy was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types of the study subject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lesion, breast type and BI-RADS Category and were analyzed.
Results : The location of the lesion, breast type, and BI-RADS Category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For the thickness of the breast, the general method and the method using needle guid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p>0.05). For the absorbed dose, the general method was 11.63 ± 3.01 to be less than the Needle guide method of 14.68 ± 4.21 (p<0.05), and for the total procedure time and actual procedure time, the method using the needle guide showed to be shorter (p<0.05).
Conclusion : There was limitation of having more dose than the general method, but the test was enabled in shorter time, and also had advantage of verifying the existence of residual fine calcification in the breast quickly after the procedure.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method using the needle guide is more effective in the early breast cancer diagnosis.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 과
Ⅳ. 고 찰
Ⅴ.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Heel Effect가 영상에 미치는 영향과 감소법
- 유아기 여아의 생식선 차폐체 제작을 위한 골반 지표 계측
- Image pasting 검사 시 SID에 따른 확대율 평가
- 디지털 X-ray 에너지 조건 선택에 따른 요로결석 검출능력 비교
- 소아 상지 X-ray 검사(왼손 성장판 X-ray검사)시 환자의 방사선피폭선량 측정 및 감소활동
- 신생아 감염예방을 위한 비접촉식 차폐도구의 연구
- 방사선 방어용 앞치마의 납당량, 종류에 따른 성능평가
- Long Bone 검사시 촬영 방식에 따른 영상 왜곡률 평가
- 소아 흉부 X-ray 검사 시 Exposure field 조정에 따른 유효선량의 평가
- 소아 투시검사 시 필터 사용에 따른 피폭선량 감소
- 전 척추 측방향 검사 시 경추 filter device에 대한 유용성 평가
- 영상진단 검사 시 발생하는 성희롱에 대한 인식조사
- 디지털 방사선장치에서 흉부검사 시 복합 부가filter 사용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 DR X-선 장비를 이용한 상, 하지 검사 시 촬영거리 변화에 따른 선량감소와 영상의 유용성 평가
- Needle guide를 사용한 입체정위생검술의 유용성에 대한 고찰
- 디지털 무선 검출기를 이용한 이동형 방사선 검사에서 튜브 각도 변화에 따른 노출지수 평가
- 이동식 디지털 흉부 X-선 장비의 중심정맥관 대조도 증강 영상에 대한 고찰
- 검사 방법에 따른 Lower Extremity Scanogram의 비교
- 흉부 Phantom을 이용한 Chest PA검사에서 자동 노출방식의 Density와 Sensitivity 설정 값에 따른 영상 및 피폭선량에 대한 고찰
- 일반촬영실 납마커의 오염인식도 및 오염도에 관한 연구
- DR을 이용한 비 외상 환자의 대퇴 경부 측방향 검사 시 최적의 X-선 입사각도 및 환자자세
- 직무순환제도에 따른 직무만족도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임상에서 사용되는 온장고 온도설정 및 한계점에 대한 고찰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무증상 치밀 유방 여성에서 인공지능 기반 컴퓨터 보조 진단 장치의 유용성 연구
- 방사선치료 임상실습 환경에 따른 방사선(학)과 학생의 학습 효과 분석
- 딥러닝을 활용한 한국형 유방초음파 영상 정상-종괴 구분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