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역방송에 대한 지역민의 의견 유형 연구
이용수 82
- 영문명
- A Study on Local Residents’ Opinion Types for the Local Broadcasting : The Analysis of Opinions on Viewer Boards of 9 Local Broadcasting Stations
- 발행기관
-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 저자명
- 허찬행(Chanhaeng Heo) 김병길(Byung Kil Kim)
- 간행물 정보
-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제12권 2호, 9~3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8.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지역방송에 대한 지역민의 의견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9개 지역민방 시청자 게시판의 게시 글을 분류하고, 의견을 유형화 하였다. 주요 결과로 지역방송 시청자게시판의 게시 글은 문의, 평가, 요구 등 세 가지로 유형화 할 수 있었다. 이 중 문의를 제외한 평가와 요구를 통해 지역민의 의견을 종합한 결과, 심층성, 접근성, 전문성, 프로그램완성도, 공정성, 정확성, 자체제작 및 편성, 지역성, 상호작용 등 9개의 의견으로 유형화 할 수 있었다. 지역방송에 대한 지역민 의견은 정확성, 전문성, 완성도, 공정성 측면에서는 지역프로그램의 많고 적음을 떠나, 일반적인 저널리즘 원칙과 방송 원칙을 수행하는 것을 원하고 있었으며, 이런 요소들이 충족 되지 않을 때 지역방송을 낮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동안 지역성 개념에서 중요하게 다뤄지지 않았던, 접근성에 대한 요구가 많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cognition of local residents for the roles of local broadcasting. For this purpose, the opinions on viewer boards of 9 local broadcasting stations were analyzed. As main results, researchers classified viewer opinions of local broadcastings into three types: inquiry, evaluation, and request. The evaluation and request opinions excluding inquiries were categorized into 9 types: depth report, accessibility, professionality, program completeness, impartiality, accuracy, direct producing and programing, locality, and interaction between stations and local residents. Local residents suggested their opinions focused on the general principles of journalism and broadcasting in terms of accuracy, professionality, completeness and impartiality. When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accuracy, professionality, completeness, and impartiality of local stations, however, they evaluated the local broadcastings as low quality. In addition, they considered requests for accessibility as an important factor of their opinions, which were not important in the traditional concept of locality.
목차
1. 서론
2. 문헌 연구
3. 연구 문제 및 연구방법
4. 분석결과
5.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