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치 쟁점의 사전지식 수준에 따른 관여도, 뉴스 신뢰도, 소셜 커뮤니케이션 행위
이용수 182
- 영문명
- The Effectiveness of Social Communication Behavior Moderating News Reliability and Involvement Based on Prior Knowledge of ‘Thaad’ Political Issue
- 발행기관
-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 저자명
- 김미경(Kim Mikyung) 김봉덕(Kim Bongduk) 이은지(Lee Eunji)
- 간행물 정보
-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제12권 2호, 93~11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8.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전지식 수준이 어떠한 조절요인을 통해서 소셜커뮤니케이션 행동을 하는지를 검토하였다. 정치쟁점 ‘사드’에 대한 사전지식 수준이 관여도와 뉴스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 한 결과, 관여도 구성 요소중 이슈관여, 가치관여 측면에서 차이를 보였고, 뉴스신뢰도에는 영향 을 미치지 않았다. 정치쟁점 ‘사드’에 대한 사전지식 수준이 소셜커뮤니케이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정보전달과 정보공유행동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정치쟁점 ‘사드’에 대한 사전지식 수준과 소셜커뮤니케이션 행동의 관계에서 관여도와 뉴스신뢰도가 조절 요인으로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모두 조절요인으로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좋아요’에는 뉴스신뢰도와 가치관여가 조절변인으로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댓글달기’는 가치관여가 가장 높게, 정치관여가 조절효과를 보였다. ‘공유하기’의 경우엔 뉴스신뢰도, 이슈관여, 정치관여, 가치관여등 모든 요인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search the moderating factors on the relation of prior knowledge and social communication behavior. For this purpose, this paper examines how prior knowledge on Thaad(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 issue affect to news reliability and involvement. The results showed prior knowledge on Thaad influences to issue relevant involvement and value relevant involvement but doesn t influence to news reliability. The result of the relation of the relation prior knowledge and social communication behavior is insignificant. Then, this study examines whether prior knowledge on Thaad and social communication behavior is moderated by new reliability and involvement. The result shows new reliability and involvement play significant role of moderate factors. To put it concretely, ‘Like’ of social communication behaviors is moderated by news reliability and value relevant involvement. ‘Comment’ of social communication behaviors is moderated by value relevant involvement and political relevant involvement. ‘Share’ of social communication behaviors is moderated by news reliability, issue relevant involvement, value relevant involvement and political relevant involvement.
목차
1. 문제제기
2. 기존 문헌검토
3. 연구문제
4. 연구방법
5. 연구결과
6. 결론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