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KODOS 남쪽광구에서 자유낙하식 채취기로 채취된 망간단괴 부존률 평가를 위한 보정상수 검증
이용수 0
- 영문명
- Evaluation of Correction Parameter for the Free-fall Grab Based Mn Nodule Abundance in the Southern Sector of the KODOS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이현복(Hyun-Bok Lee) 고영탁(Young-Tak Ko) 김종욱(Jonguk Kim) 지상범(Sang-Bum Chi) 김원년(Wonnyon Kim)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44권 6호, 475~483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자유낙하식 망간단괴 채취기 (FFG)는 정점의 해저면에 분포하는 망간단괴를 모두 채취하기 어렵기 때문에 망간단
괴의 부존률을 평가할 때 반드시 보정해서 사용해야 한다. 북동태평양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망간단괴 광구 중에서 북
쪽광구의 보정상수는 이미 해저면 영상분석으로 결정되어 있다. 그러나 남쪽광구는 망간단괴가 퇴적물에 피복되어 있
어서 영상분석에의한 부존률 평가에 지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과거에 남쪽광구에서 FFG로 획득
한 부존률 자료에 사용한 보정상수를 검증하기 위하여 2007~2009년에 상자형 시료 채취기와 FFG를 동시에 운영하
여 40개의 정점자료를 획득하였다. BC와 FFG의 상관분석을 통하여 BC가 FFG에 비하여 1.43배 부존률이 크게 나
타났으며, 이것은 남쪽광구에서 실제 망간단괴 분포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FFG 자료에 1.43의 보정상수를 곱해서 사
용해야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번에 획득한 보정상수는 기존에 영상분석을 통해 얻은 보정상수(1.42~1.45)와 유사한
결과로서 남쪽광구에서 사용할 보정상수가 검증되었다고 판단된다.
영문 초록
Quantitative estimate of manganese nodules based on the operation of a free fall grab (FFG) needs to be corrected
because of its less retrieval ability. Previously, the correction parameter of the nodule abundance collected by
FFG was calculated based on the image analysis of the photos of bottom sediment in the northern sector of the
nodule exploration area of Korea in the NE equatorial Pacific. However, nodules in the southern sector are commonly
covered by sediment, which may prevent the use of the correction parameter estimated by photographic techniques.
In this study, we attempted dual nodule sampling at the same location by different equipments (i.e. box
corer (BC) and FFG) to examine the previous correction parameter of nodule abundance for FFG operation. During
the exploration cruises in 2007 to 2009, Mn-nodules were collected from 40 stations both by BC and FFG in
the southern sector.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BC and FFG operations revealed that the BC collected nodules
1.43 times larger than FFG. Our result suggests that the correction parameter of 1.43 can be applied for collection
of FFG data to estimate Mn-nodule distribution in the southern sector. The obtained parameter is similar to the
previous parameter (1.42~1.45) calculated by the image analysis method, indicating an usefulness of new correction
parameter suggested by this study.
목차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3. 결 과
4. 토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활성탄 및 자외선을 이용한 시안 저감 특성 연구
- 캐나다 북부 알버타주 데본기 후기 탄산염암 지역의 탄성파 층서
- 캐나다 사스카촨주 아타바스카분지의 지질 및 우라늄광상
- 쌍천 지하댐의 효용성 평가를 위한 지표수-지하수 통합 수문해석
- 우즈베키스탄 세베로-투르크스탄스키 광화대의 지질과 광화작용
- 다양한 지구물리 자료를 통해 얻은 한반도의 지각두께 예측과 지열류량과의 비교
- KODOS 남쪽광구에서 자유낙하식 채취기로 채취된 망간단괴 부존률 평가를 위한 보정상수 검증
- 미래 자원환경지질 분야로서 국가기반시설 리질리언스 연구 동향 분석
- 우리나라 EGS 지열발전의 이론적 및 기술적 잠재량 평가
- 페루 뿌노지역 지질특성과 다금속 광화작용
- ASTER 분광분석을 통한 해남지역 강고령토변질 암석의 식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 특허 동향 분석
- 산불에 의한 지하수 토양 환경오염과 방사성 물질 분포 및 거동 영향 고찰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한국연안방재학회지 제12권 제2호 목차
- 해안지역 홍수예측 및 위험관리를 위한 GIS-딥러닝 통합 시뮬레이션 체계 구축
- 서남해 인근 해역의 계절별 통항특성에 기반한 선박과 해상풍력발전단지의 안전이격거리 설정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