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쌍천 지하댐의 효용성 평가를 위한 지표수-지하수 통합 수문해석
이용수 43
- 영문명
- Integrated Surface-Groundwater Hydrologic Analysis for Evaluating Effectiveness of Groundwater Dam in Ssangcheon Watershed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김남원(Nam-Won Kim) 나한나(Hanna Na) 정일문(Il-Moon Chung)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44권 6호, 525~532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지속가능한 지하수 자원의 개발과 관리능력의 수단으로서의 지하댐의 이용과 그 효율성에 관한 분석을 수행하기 위
해 완전연동형 지표수-지하수 통합해석 모형인 SWAT-MODFLOW를 쌍천유역에 적용하여 지하댐 건설에 따른 영향
평가를 수행하였다. 지하댐 건설 후에는 댐 상류의 지하수위 상승이 일어나며 하류부는 지하수가 감소하는 현상이 나
타난다. 이에 따라 지표수-지하수의 상호교환량은 상류에서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댐 건설에 따라 상류부
대수층의 저류량이 증가함으로써 가용한 지하수의 개발량은 그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지하
댐의 기능이 대수층의 가용 저류량을 증대시키는 매우 유용한 시설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통합 수문해석 방법론은
지하댐 건설에 따른 영향 뿐 아니라 설계와 운영을 평가하기 위한 적절한 기법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he usefulness of underground dam as a mean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groundwater, and
its performance in the management of groundwater resources were analyzed. The fully integrated SWAT-MODFLOW
was applied to the Ssangcheon watershed in Korea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groundwater dam construction.
After construction, the groundwater level raised in the upstream area of groundwater dam while lowered
in the downstream area. Also, it is shown that the exchange rate of river-aquifer interactions increased in the upper
area of the dam. Since the storage capacity of the aquifer largely increased in the upper area of the dam, the
exploitable groundwater could be greatly increased as much.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a groundwater dam was
a very useful measure to increase the available storativity of groundwater aquifers. It also represented that the combined analysis using SWAT-MODFLOW was helpful for the design and opeation of groundwater dam in the Ssangcheon watershed.
목차
1. 서 론
2. 연구 방법
3. 연구지역 현황
5. 결과 분석
6.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활성탄 및 자외선을 이용한 시안 저감 특성 연구
- 캐나다 북부 알버타주 데본기 후기 탄산염암 지역의 탄성파 층서
- 캐나다 사스카촨주 아타바스카분지의 지질 및 우라늄광상
- 쌍천 지하댐의 효용성 평가를 위한 지표수-지하수 통합 수문해석
- 우즈베키스탄 세베로-투르크스탄스키 광화대의 지질과 광화작용
- 다양한 지구물리 자료를 통해 얻은 한반도의 지각두께 예측과 지열류량과의 비교
- KODOS 남쪽광구에서 자유낙하식 채취기로 채취된 망간단괴 부존률 평가를 위한 보정상수 검증
- 미래 자원환경지질 분야로서 국가기반시설 리질리언스 연구 동향 분석
- 우리나라 EGS 지열발전의 이론적 및 기술적 잠재량 평가
- 페루 뿌노지역 지질특성과 다금속 광화작용
- ASTER 분광분석을 통한 해남지역 강고령토변질 암석의 식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 특허 동향 분석
- 산불에 의한 지하수 토양 환경오염과 방사성 물질 분포 및 거동 영향 고찰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한국연안방재학회지 제12권 제2호 목차
- 해안지역 홍수예측 및 위험관리를 위한 GIS-딥러닝 통합 시뮬레이션 체계 구축
- 서남해 인근 해역의 계절별 통항특성에 기반한 선박과 해상풍력발전단지의 안전이격거리 설정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