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양한 지구물리 자료를 통해 얻은 한반도의 지각두께 예측과 지열류량과의 비교
이용수 50
- 영문명
- Estimate on the Crustal Thickness from Using Multi-geophysical Data Sets and Its Comparison to Heat Flow Distribution of Korean Peninsula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최순영(Soon Young Choi) 김형래(Hyung Rae Kim) 김창환(Chang Hwan Kim) 박찬홍(Chan Hong Park) 서만철(Man Chul Suh)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44권 6호, 493~502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형자료와 Free-air 중력이상을 이용하여 한반도의 모호면 심도 및 지각두께를 계산하였다. Airy-
Heiskanen 지각평형 가설에 근거한 Free-air 중력이상에 포함된 지형중력과 연관성 있는 성분들을 파동수상관분석으
로 추출하고 이로부터 보상이 이루어진 상태의 중력효과를 계산하였다. 계산된 결과로부터 반복법을 통한 역산을 이
용하여 지각과 맨틀의 경계면인 모호면 심도를 도출하였고 역산 시 기존에 연구된 지진파에 의한 20개의 모호면 심
도를 활용하여 포텐셜 필드에서 나타날 수 있는 비유일성의 가능성을 최소화하였다. 최종적으로 모호면 심도와 고도
자료를 더하여 한반도 지각두께를 도출하였으며 한반도 평균지각두께는 32.15 km, 표준편차 3.12 km를 나타내었다.
이 연구에서 구한 남한지역의 모호면과 같은 지역의 타 논문결과들과 비교하였을 때 평균 모호면 심도는 각각 31.08 km,
31.96 km, 33.02 km을 나타내고 표준편차는 1.94 km, 1.62 km, 1.77 km을 나타냄으로 각 연구결과의 통계치는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모호면 굴곡 역시 공통적으로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을 따라 모호면이 깊어지고 경상
분지는 얕아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지각 내 중력 이상체의 분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지형과 비상관된 Freeair
중력이상을 가지고 지열류량분포와 비교하였다. 저주파성분의 지형과 비상관된 Free-air 중력이상과 지열류량분포를
상관 비교한 결과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특히, 경상분지지역은 높은 지열류량분포가 암석의 밀도보상으
로 인해 모호면의 상승을 가져다 준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Kim et al.(2008)에서 언급한 경상분지의 높
은 지열류량이 맨틀로부터 야기되는 모델과 부합된다는 사실을 뒷받침해주고 있다.
영문 초록
We study the deep structure of Korean Peninsula by estimating Moho depth and crustal thickness from using
land and oceanic topography and free-air gravity anomaly data. Based on Airy-Heiskanen isostatic hypothesis, the
correlated components between the terrain gravity effects and free-air gravity anomalies by wavenumber correlation
analysis(WCA) are extracted to estimate the gravity effects that will be resulted from isostatic compensation for the
area. With the resulting compensated gravity estimates, Moho depth that is a subsurface between the crust and mantle is estimated by the inversion in an iterative method with the constraints of 20 seismic depth estimates by the
receiver function analysis, to minimize the uncertainty of non-uniqueness. Consequently, the average of the resulting
crustal thickness estimate of Korean Peninsula is 32.15 km and the standard deviation is 3.12 km. Moho depth
of South Korea estimated from this study is compared with the ones from the previous studies, showing they are
approximately consistent. And the aspects of Moho undulation from the respective study are in common deep along
Taebaek Mountains and Sobaek Mountains and low depth in Gyeongsang Basin relatively. Also, it is discussed that
the terrain decorrelated free-air gravity anomalies inferring from the intracrustal characteristics of the crust are compared to the heat flow distributions of South Korea. The low-frequency components of terrain decorrelated Free-air
gravity anomalies a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heat flow data, especially in the area of Gyeongsang basin where
high heat flow causes to decrease the density of the rocks in the lower crust resulting in lowering the Moho depth
by compensation. This result confirms that the high heat sources in this area coming from the upper mantle by Kim
et al. (2008).
목차
1. 서 론
2. 자료획득 및 연구방법
3. 결과 및 토의
4.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활성탄 및 자외선을 이용한 시안 저감 특성 연구
- 캐나다 북부 알버타주 데본기 후기 탄산염암 지역의 탄성파 층서
- 캐나다 사스카촨주 아타바스카분지의 지질 및 우라늄광상
- 쌍천 지하댐의 효용성 평가를 위한 지표수-지하수 통합 수문해석
- 우즈베키스탄 세베로-투르크스탄스키 광화대의 지질과 광화작용
- 다양한 지구물리 자료를 통해 얻은 한반도의 지각두께 예측과 지열류량과의 비교
- KODOS 남쪽광구에서 자유낙하식 채취기로 채취된 망간단괴 부존률 평가를 위한 보정상수 검증
- 미래 자원환경지질 분야로서 국가기반시설 리질리언스 연구 동향 분석
- 우리나라 EGS 지열발전의 이론적 및 기술적 잠재량 평가
- 페루 뿌노지역 지질특성과 다금속 광화작용
- ASTER 분광분석을 통한 해남지역 강고령토변질 암석의 식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 특허 동향 분석
- 산불에 의한 지하수 토양 환경오염과 방사성 물질 분포 및 거동 영향 고찰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한국연안방재학회지 제12권 제2호 목차
- 해안지역 홍수예측 및 위험관리를 위한 GIS-딥러닝 통합 시뮬레이션 체계 구축
- 서남해 인근 해역의 계절별 통항특성에 기반한 선박과 해상풍력발전단지의 안전이격거리 설정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