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활성탄 및 자외선을 이용한 시안 저감 특성 연구
이용수 5
- 영문명
- Cyanide Attenuation by Granular Activated Carbon and UV-Light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이효은(Hyo Eun Lee) 김영재(Young Jae Kim) 박수오(Soo-oh Park) 성유현(Yoo Hyun Sung) 박찬오(Chan Oh Park 이현주Hyun-Ju Lee 장민Min Jang 이영재Young Jae Lee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44권 6호, 485~492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활성탄과 자외선을 이용한 시안 저감 연구를 위해 다양한 농도조건 및 넓은 pH 범위에서 배치실험을 수행하였다.
활성탄을 이용한 시안흡착은 시안의 초기농도 2 mg/L 이하에서 매우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안 초기농도
3 mg/L 이하에서는 pH 7.0 에서의 흡착이 우수하였고, 그 이상의 시안 초기농도 구간에서는 pH 9.0일 경우 흡착량
이 많은 것으로 관찰된다. 전체적인 흡착 패턴을 봤을 때, pH 9.0 에서는 시안의 초기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흡착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는 반면 pH 7.0 에서는 흡착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활성탄의 반응성이 pH에 따라 변
화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시간에 따른 시안의 흡착 결과, 반응 후 초기 30분 동안 빠른 흡착을 보이나 3시간 이내에
급격히 탈착되며, 그 이후로는 흡착이 다시 증가하여 최대 흡착에 이르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는 활성탄을 이용한
시안의 초기 흡착모드가 시간에 따라 변화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탈착실험 결과, 활성탄에 흡착된 총 시안 중 최대
1.5%의 탈착을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밖에 활성탄과 함백탄광슬러지의 혼합물을 이용한 시안흡착은 0.76 mg/g
의 낮은 저감효율을 나타냈다. 자외선에 의해서는 최대 96.6%의 매우 효율적인 저감을 보였으며, 시안의 초기농도가
높아질수록 활성탄을 이용한 시안의 저감보다 많은 양의 시안을 저감시키는 것으로 관찰된다. 이번 실험결과는 활성
탄과 자외선 모두가 다양한 조건의 환경에서도 시안저감에 효율적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Sorption of cyanide on granular activated carbon and attenuation of the cyanide by UV-light over a wide range
of conditions such as pH and concentration were investigated through batch experiments. Cyanide uptake by activated
carbon is much effective at [CN]ini < 2 mg/L. The sorption of cyanide on activated carbon at pH 7.0 is
greater than that of pH 9.0. It is found that the ratio of CN uptake to CN in solution increases at pH 9.0 whereas
at pH 7.0 the ratio decreases, suggesting that reactivity of activated carbon increases as a function of pH. The sorption
of cyanide rapidly increases during the first 30 min, followed by sharp desorption until 3hr, and then the sorption
increases and reaches the maximum sorption during the duration of experiments, implying that the sorption
mode could be changed through conformational change during the initial stage of the cyanide uptake by activated
carbon. Total amount of cyanide desorbed from the activated carbon during the period of desorption experiments is
less than 1.5% of total sorbed cyanide, indicative of strong and stable sorption of cyanide on the activated carbon.
The sorption with mixture of activated carbon and Ham-Baek sludge shows less effective on the removal of the
cyanide. It is noted that UV-light is much effective on the removal of cyanide but also the attenuation is achieved
until [CN]tot is up to 10 mg/L. Our findings demonstrate that both activated carbon and UV-light are very effective
on the attenuation of cyanide over a wide range of environmental conditions.
목차
1. 서 론
2. 연구방법 및 실험조건
3. 연구결과 및 토의
4.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활성탄 및 자외선을 이용한 시안 저감 특성 연구
- 캐나다 북부 알버타주 데본기 후기 탄산염암 지역의 탄성파 층서
- 캐나다 사스카촨주 아타바스카분지의 지질 및 우라늄광상
- 쌍천 지하댐의 효용성 평가를 위한 지표수-지하수 통합 수문해석
- 우즈베키스탄 세베로-투르크스탄스키 광화대의 지질과 광화작용
- 다양한 지구물리 자료를 통해 얻은 한반도의 지각두께 예측과 지열류량과의 비교
- KODOS 남쪽광구에서 자유낙하식 채취기로 채취된 망간단괴 부존률 평가를 위한 보정상수 검증
- 미래 자원환경지질 분야로서 국가기반시설 리질리언스 연구 동향 분석
- 우리나라 EGS 지열발전의 이론적 및 기술적 잠재량 평가
- 페루 뿌노지역 지질특성과 다금속 광화작용
- ASTER 분광분석을 통한 해남지역 강고령토변질 암석의 식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 특허 동향 분석
- 산불에 의한 지하수 토양 환경오염과 방사성 물질 분포 및 거동 영향 고찰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한국연안방재학회지 제12권 제2호 목차
- 해안지역 홍수예측 및 위험관리를 위한 GIS-딥러닝 통합 시뮬레이션 체계 구축
- 서남해 인근 해역의 계절별 통항특성에 기반한 선박과 해상풍력발전단지의 안전이격거리 설정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