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본 백화점계의 조선 진출과 경영전략

이용수  457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경영사학회
저자명
노혜경(Hye-kyung Roh)
간행물 정보
『경영사연구(경영사학)』제32집 제2호(통권82호), 123~14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6.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미쓰코시는 히비 오스케의 `백화점 선언`으로 근대적 백화점이 시작되었다. `박리다매, 생활개선, 국민외교`라는 백화점 역할을 설정하여 서구 근대문화의 수용과 일본의 신문화 창출을 선도했는데, 이는 사실상 문화, 생활마케팅 전략이었다. 구체적 시행 방법으로 학자, 지식인, 예술인이 참여하고 양성하는 `학속협동`을 전개했고, 전통문화 요소와 서구문화를 결합해서 새로운 고급문화를 창출하는 `화양절충`에 주력했다. 또 `유행과 취미의 창조`라는 관점에서 대중화, 실용화 전략을 썼다. 고급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취미와 유행을 만들고 계몽함으로서 라이프 스타일을 개조한 것이다. 미쓰코시는 고급문화를 모든 사람이 향유하는 문화대중화에 백화점이 그 선봉에 섰다는 기업이미지 창출에 성공했다. 미쓰코시는 조선통감부의 전격적인 지원을 통하여 조선에 가장 먼저 진출했다. 통감부에서 의도한 일본의 상품이 조선에 진출하여 일본의 문화를 진출시키고 조선인이 수용하게 하는 역할을 착실히 수행했다. 미쓰코시 경성점은 매출규모 2위를 기록할 정도로 성공을 거두었다. 조선에서의 미쓰코시 경영방식은 일본에서 시행했던 백화점의 문화적 기능과는 달랐다. 일본 자국에서와는 달리 미쓰코시는 화양절충된 일본의 문화, 일본의 취미가 조선으로 이식되는 창구의 역할을 했다. 경성점에서 시행된 전시, 박람회는 조선통치를 위한 정책성 전시나 이벤트, 조선의 특수 상황을 반영한 것이었다. 경성점 운영은 일본에서의 미쓰코시가 추구했던 미국식 판매 전략에 총독부의 정책홍보 기능이 부가되어 시행된 것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계 백화점이 조선에서 성공할 수 있었던 원인은 근대적 신문화, 새로운 도시문화의 수요와 일본계 백화점의 영업 전략이 조선의 관습과 문화와 맞아떨어지는 부분 때문이었다.

영문 초록

Mitsukoshi has formed as a modern department store through Ousuke Hibi`s `the Declaration of Department Store`. Mitsukoshi took the head of embracing modern western culture and creating Japanese new culture by setting up roles of their department store which were small profits and quick returns, improvement of living, and `diplomacy by the people(國民外交)`. Mitsukoshi has succeeded to make a corporate image that a department store leads popularizing culture which can be enjoyed by every people. Mitsukoshi has got through to the Joseon first of all by The Residency-General`s full support. They played a role of spreading Japanese culture by selling Japanese product to Joseon and making Joseon people to accept it, which was intended by The Residency-General. Mitsukoshi`s management in Joseon was different from a department store`s cultural role in Japan. Unlike in Japan, Mitsukoshi made a role of window that hwa-yang compromised(和洋折衷) Japanese culture and interest are spread to Joseon. Management of Mitsukoshi Kyungsung branch was executed with merging American sales strategy, that Mitsukoshi pursued in Japan, and The Residency-General`s political publicity. Even though Japanese department store succeeded in Joseon, because the department stores` marketing strategy and demand of modern culture and urban culture were coincided with Joseon`s custom and culture.

목차

Ⅰ. 서 론
Ⅱ. 미쓰코시의 경영이념과 신문화 활동
Ⅲ. 미쓰코시의 조선 진출과 경영
Ⅳ. 미나카이의 현지화 정책과 영향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노혜경(Hye-kyung Roh). (2017).일본 백화점계의 조선 진출과 경영전략. 경영사연구(경영사학), 32 (2), 123-148

MLA

노혜경(Hye-kyung Roh). "일본 백화점계의 조선 진출과 경영전략." 경영사연구(경영사학), 32.2(2017): 123-1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