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 Survey on Recent Studies on Corporate Governance

이용수  65

영문명
기업지배구조 최근 연구 방향에 관한 고찰
발행기관
한국경영사학회
저자명
Sung-hwan Choi(최성환) Jee-hoon Lee(이지훈) Dong-ryung Yang(양동령)
간행물 정보
『경영사연구(경영사학)』제32집 제2호(통권82호), 231~24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6.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기업지배구조에 관하여 논한 최근 연구 결과물들을 고찰하였다. 기업지배구조에 관하여 다루어졌던 주요한 이슈들은 다음과 같다. 기업집단이 형성되는 이유, 기업 집단 형성에 따른 이익과 사회적 영향, 기업 이사회는 주주가치 보호라는 본래의 설립 취지를 살려 잘 운영되어 왔는지 여부, 최고 경영진에 대한 적절한 보상 수준, 최근의 기관투자자들의 투자자 행동주의의 효과 등이다. 일반적으로 기업지배집단은 여러 기업의 경영권을 유지하면서, 타인 자본 활용의 효과를 함께 활용하려는 최대주주에 의해 설립될 수 있다는 의견과 상대적으로 기업 활동을 보조하기 위한 사회적 인프라가 덜 갖추어진 국가에서 동일 기업 집단 내의 재무적, 인적 자원을 상호 활용하고자 하는 동인에서 설립된다는 논문들이 조사되었다. 최근 들어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최고경영진의 보상 수준에 대한 논문들은 그러한 보상 수준에 걸맞도록 최고경영진이 기업 가치상승에 도움을 주었는지를 주요 논점으로 다루고 있으며, 연구 결과는 이러한 문제에 대해 일관된 답을 주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최근 들어 급격히 성장한 대규모의 연금 펀드 및 사모펀드를 포함한 기관투자자들이 적극적으로 피투자회사의 경영에 관여하고 있는지 여부와 그러한 개입이 기업 가치 증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최근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전반적으로 사모펀드 등은 적극적 개입을 통해 주주 가치 극대화를 추구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연금 펀드 등은 경영 참여 등을 자제하는 동시에 투자 수익률의 극대화를 소극적으로 추진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기존 논문들에 대한 고찰은 기업 지배구조에 관한 여러 가지 규제 및 제도의 도입을 고려하고 있는 현재 한국의 실정을 고려할 때, 각 규제 혹은 제도가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영향을 여러 각도에서 고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surveys the evolution of corporate governance issues influencing Korean public companies. The study first reviews literature presenting conventional explanations of why business groups prevails in certain countries, while in other countries, most of the companies exist as stand-alones with diversified ownership. The literature points out that benefits that controlling shareholders enjoy motivate the individuals to form the business groups. Individuals controlling entire business groups with limited stock ownership have incentives to pursue private benefits at the cost of minority shareholders. Such possibility necessitates an institution against corporate decisions hampering the rights of minority shareholders. Board of directors, especially outside directors, are supposed to monitor corporate insiders, in case that the insiders make decisions not beneficial to general shareholders. Such institutional requirement sometimes does not serve its original purpose as intended, when the insiders name outside directors who represent the best interest of the incumbent managers (or controlling individuals) not that of general shareholders. This caveat triggers the need of alternative channels by which minority shareholders directly participate in corporate decision making process. Recent rise of institutional investors, such as pension funds, private equities, and hedge funds, provides a new opportunity where the investment vehicles are directly vocal for or against corporate decisions. Such monitoring mechanism becomes more enforceable, as the monitoring is conducted not by agents (corporate directors) but directly by stockholders (institutional investors) holding significant portion of corporate. As a conclusion, we propose that the protection of minority shareholders becomes more effective when they find ways to directly participate in corporate decision process, compared to a situation where the shareholders designate an agent, such as outside directors, to make her protect their right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 Origin of the Abuse of Control Power
Ⅲ. Board of Directors
Ⅳ. Managerial Compensation
Ⅴ. Institutional Activism
Ⅵ.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Sung-hwan Choi(최성환),Jee-hoon Lee(이지훈),Dong-ryung Yang(양동령). (2017).A Survey on Recent Studies on Corporate Governance. 경영사연구(경영사학), 32 (2), 231-248

MLA

Sung-hwan Choi(최성환),Jee-hoon Lee(이지훈),Dong-ryung Yang(양동령). "A Survey on Recent Studies on Corporate Governance." 경영사연구(경영사학), 32.2(2017): 231-2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