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외식업체 영양표시에 대한 신뢰와 만족이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용수 409
- 영문명
- The Effects of Reliability and Satisfaction in Nutritional Labels of Restaurants on Brand Awareness and Loyalty
- 발행기관
- 한국식공간학회
- 저자명
- 김나형(Kim Na Hyung)
- 간행물 정보
- 『식공간융합연구』식공간학회 12권 1호, 33~4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외식업체 영양표시에 대한 신뢰와 만족이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외식업체의 브랜드 마케팅 전략을 세우기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 결과 첫째, 영양표시를 제공하는 외식업체에 대한 신뢰는 만족,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되었으며, 둘째, 영양표시를 제공하는 외식업체에 대한 만족은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나타났다. 외식영양표시는 소비자에게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건강한 메뉴개발을 이끌어 낼 수 있어 소비자와 외식업체 모두에게 긍정적인 결과를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건강과 관련된 타겟 마케팅은 외식업체의 이미지를 상승시키는데 도움을 줄 뿐 만 아니라 소비자에게 건강한 이미지로 포지셔닝을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브랜드 인지도는 브랜드 충성도 향상에 기여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제 브랜드 인지도만으로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소비자들의 욕구가 다양해짐에 따라 비슷한 욕구를 가진 사람들을 하나의 시장으로 분류하여 소비자의 욕구에 맞는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하여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외식영양표시를 실시하고자 하는 외식업체와 새로운 마케팅 활동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how reliability and satisfaction that customers have in the nutritional labels provided by restaurants for their menu affect the brand awareness and brand loyalty, thus gathering data for establishing brand marketing strategies for restaurants. In this study, the reliability in the restaurant nutritional label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brand awareness and brand loyalty. Second, satisfaction with those label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rand awareness and loyalty. Nutritional labeling for restaurants contributes to providing consumers with
trustworthy information and leading to development of healthy menus, which is expected to benefit both consumers and restaurants. Target marketing related with health does not only help improve the image of restaurants but also plays a critical role in positioning with healthy image to customers. Third, the brand awareness didn’t affect the increase of brand loyalty. This indicates brand awareness alone cannot affect brand loyalty. As consumers develop more diverse desires, those with similar desires may be categorized as a market group for efficient marketing strategies specifically catering to them. This study may lay the groundwork for restaurants that plan to start nutritional labeling and new marketing activities.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외식 소셜미디어에 대한 지각된 가치가 지식공유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커피산업 종사자의 자기주도 직무재구성이 직무만족, 직무열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네이버플레이스 외식 정보처리 과정에 관한 연구: 이중처리과정 이론(Dual Process Theory)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