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arly Social Communication Development of Toddlers who are at Risk of Autism Spectrum Disorder before 30 months
- 발행기관
- 한국자폐학회
- 저자명
- 김은경(Kim, Eun Kyung)
- 간행물 정보
- 『자폐성장애연구 [ISSN 2005-1778 (Print) / 2671-6992 (Online)]』제11권 제2호, 25~4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8.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조기 선별 및 조기 중재를 위해 만 3세 미만의 자폐 스펙트럼 장애 의심 영아의 초기 사회적 의사소통 특성을 종단 연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9명의 자폐 스펙트럼 장애 의심 영아를 대상으로 대상자가 18개월, 24개월, 30개월에 보이는 사회적 의사소통 특성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ASD 의심 영아는 정서 및 눈응시의 전체 영역과 하위 영역 중 눈응시 전환과 긍정적 정서 공유에서는 월령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에 눈응시/지적 따르기에서는 18개월과 30개월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ASD 의심 영아들이 보인 의사소통 기능을 가진 음성 및 몸짓 의사소통 신호의 비율은 18개월, 24개월, 30개월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의사소통 기능과 관련하여, 18개월에는 행동조절 기능의 의사소통을 사회적 상호작용과 공동주의 집중 기능의 의사소통 행동 보다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ASD 의심 영아들이 보이는 관습적 몸짓의 낮은 빈도는 월령 증가와 더불어 어떠한 변화도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의심 영아의 조기 발견에 대한 의미 있는 논의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social communication development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before 30 months. Subjects were 9 toddler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t-risk). Data were collected every six months from 18 to 30 month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ye gaze shifts and shared positive affect were no significant different among 18, 24, and 30 months, whereas gaze/point affect showed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18 and 30 months. Second, the rate of communicating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observation months ASD toddlers. In communicative functions, ASD toddlers showed lower on proportion of joint attention and social interaction compared with behavior regulation. Third, the low rate of conventional gesture observed at 18 months of age was not changed in order across the observation periods. Gaze shifts, shared positive affect, act for social interaction, and act for joint attention were the strongest predictors of autism symptoms before 24months of ag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early identification and understanding early social communication in ASD were discussed.
목차
요약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II.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절차
4. 평가자간 신뢰도
5. 자료 수집 및 분석
III. 연구 결과
1. 정서 및 눈응시의 변화
2. 의사소통 행동의 변화
3. 몸짓의 변화
IV.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청년실업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이혼가정 아동의 외상 후 성장을 위한 해결중심 모래놀이치료 사례연구
- 교육현장의 아동학대 예방 및 대처 내실화를 위한 해결중심상담 적용 방안의 탐색적 연구
- 초보 해결중심상담자를 위한 슈퍼비전 실천 사례연구: “유능한 해결중심상담자가 되고 싶어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