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폐성 장애 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한 예비초등교사의 인식
이용수 521
- 영문명
- A Study on Recognition of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Inclusive Education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 발행기관
- 한국자폐학회
- 저자명
- 최미영(Choi, Mi-Young) 윤현숙(Yoon, Hyun-Sook)
- 간행물 정보
- 『자폐성장애연구 [ISSN 2005-1778 (Print) / 2671-6992 (Online)]』제11권 제2호, 77~9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8.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자폐성장애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한 예비초등교사의 인식 수준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26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256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문제는 첫째, 자폐성장애아동의 특성에 대한 인식수준이 교대생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특수교육 관련과목 이수여부가 교대생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성별에 따라 교대생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의 차이가 있는가? 넷째, 자폐성장애아동의 직접, 간접적인 경험의 정도가 교대생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였다. ‘통합교육에 관한 개념’, ‘교사의 전문성’, ‘교사의 시간 및 인내의 요구’, ‘학업적 기대’, ‘행동적 기대’ 영역을 구분하여 독립표본 t-test를 통해 살펴보았을 때, 특수교육 관련과목 이수 여부가 통합교육에 대한 개념, 교사의 전문성, 행동적 기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5). 성별에 따른 분석에서는 행동적 기대영역에서 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경험여부에 따른 분석에서는 서적을 통한 간접경험이 통합교육에 대한 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결과를 통해 볼 때 통합교육을 위한 교대생의 교육과정 설정에 특수교육 관련과목 이수에 대한 강조와 성별에 따른 행동관리의 차별화 및 서적을 통한 간접경험이 교사의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가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예비초등교사 양성과정에서 자폐성장애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하여 특수교육관련 과목이수를 강화하고 성별에 따른 행동관리 전략을 설정하며, 다양한 직․간접 경험을 강화하도록 하는 지원체계로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tion level on inclusive education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For this purpose, this survey was conducted of 256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wo university of education. The survey is consisted of five sub categories: ‘concept of inclusive education’, ‘professionality of teachers’, ‘demand for teachers’ ‘time and patience’, ‘academic expectation’ and ‘behavioral expectation’, and researched if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tion level would differ according to their recognition of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aking class on special education, gender, teaching experience, direct contact, media and reading experience. As a result,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tion level o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showed statistic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 categories according to taking special-education class, gender, reading experience. In other words, that is meaningful to be formed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o devise a plan to increase recognition of preliminary elementary teachers.
목차
요약
I. 서론
II.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 절차
4. 자료 처리
III. 연구 결과
1. 자폐성장애아동의 특성 인지 여부에 따른 인식 분석
2. 특수교육 관련과목 이수 여부에 따른 인식 분석
3. 성별에 따른 인식 분석
4. 직접 · 간접적 경험 여부에 따른 인식 분석
IV. 논의 및 결론
1. 논의
2.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