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스퍼거 및 고기능자폐 소아청소년의 사회성 증진 요인에 관한 연구

이용수  1,674

영문명
Asperger Syndrome, High Functioning Autism in Children and Adolescents: Factors for Social IQ Improvement
발행기관
한국자폐학회
저자명
정보경(Jung, Bokyoung)
간행물 정보
『자폐성장애연구 [ISSN 2005-1778 (Print) / 2671-6992 (Online)]』제15권 제1호, 45~6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4.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를 통해 다른 자폐 장애에 비해 상대적으로 최초 진단 연령이 늦은 아스퍼거(AS) 및 고기능자폐(HFA) 소아청소년을 위한 효과적인 사회성 치료의 필요조건들을 예비적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인천 소재 소아정신과에서 AS 및 HFA로 진단된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주의력과 관습적 사회성 및 상황 맥락적 사회성의 동태적 변화를 K-WISC III 소검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아울러 인구통계학적 요인 및 아동의 특성, 치료요인, 그리고 부모요인을 함께 고려해보았다. 주요 결과는 1) AS 및 HFA 소아청소년의 지능특성(VIQ-PIQ)에 따라 상황맥락적 사회성 증가의 차이를 보였으며, 상황맥락적 사회성은 개별치료에 비해 집단치료의 경우 증가치가 유의하게 높았다. 2) 관습적 사회성은 개별치료와 집단치료 모두 시기에 따른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3) 부모 효능감을 포함한 부모요인은 사회성 증진과의 관련성에서 입증된 바가 없었으며 4) 주의력 개선과 사회성 증진 간의 관련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effective necessary conditions preliminarily in social skills training for Asperger Syndrome (AS) and High Functioning Autism (HFA) in children and adolescents that have relatively late initial diagnosis. K-WISC III subtest measured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S or HFA, analyzing changes in attention IQ, customary SQ, situation context SQ, including demographic factors, personal traits, therapeutic factors, and parental factors. The results suggest that 1)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S and HFA showed increase in situation context SQ in accordance to characteristics of IQ(VIQ-PIQ), and group social skill training showed improvement compared with individual social skill training. 2) Customary SQ similarly increased over time for both individual and group social skill training. 3) None of the parental factors including parent efficacy proved any contribution to SQ improvement. 4) Statistically, enhancement in attention IQ has no relevance to SQ improvement.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및 자료수집
2. 측정 도구
3. 연구 절차
4. 분석 방법
Ⅲ. 결과
1. 아스퍼거 및 고기능자폐 소아청소년의 아동요인에 따른 사회성 증가의 차이
2. 사회성 치료 종류(개별, 집단)에 따른 아스퍼거 및 고기능 자폐 소아청소년의 사회성증가치의 차이
3. 약물치료 및 그 외의 치료 종류에 따른 아스퍼거 및 고기능 자폐 소아청소년의 사회성증가치의 차이
4. 부모요인에 따른 아스퍼거 및 고기능 자폐 소아청소년의 사회성 증가치의 차이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1> 연구대상자 기본정보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보경(Jung, Bokyoung). (2015).아스퍼거 및 고기능자폐 소아청소년의 사회성 증진 요인에 관한 연구. 자폐성장애연구 [ISSN 2005-1778 (Print) / 2671-6992 (Online)], 15 (1), 45-67

MLA

정보경(Jung, Bokyoung). "아스퍼거 및 고기능자폐 소아청소년의 사회성 증진 요인에 관한 연구." 자폐성장애연구 [ISSN 2005-1778 (Print) / 2671-6992 (Online)], 15.1(2015): 45-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