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Pilot Study of Program Development to Improve Maternal Parenting-Efficacy of Mothers with Autistic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자폐학회
- 저자명
- 한선혜(Seon-Hye Han) 박승호(Seung- Ho Park)
- 간행물 정보
- 『자폐성장애연구 [ISSN 2005-1778 (Print) / 2671-6992 (Online)]』제15권 제1호, 87~120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4.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자폐성 장애아동의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탐색하여 좀 더 효율적인 양육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함이다. 자폐성 장애 유아를 둔 9명의 어머니들이 연구에 참여했으며 두 그룹으로 나뉘어 초점 집단 면담(focus group interview)이 시행되었다. 면담 내용을 분석한 연구결과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은 (1) 아동과 부모간의 상호작용, 의사소통 기술, 문제행동의 원인과 대처기술 (2) 아동의 발달단계에 대한 이해 (3) 배우자의 지지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자폐성 장애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구성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프로그램에는 양육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해 위의 내용들이 포함되는 것이 필요하겠으며 배우자의 지지를 얻기 위해서는 아버지 교육이 병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influence parenting-efficacy of mothers with autistic children, and to develop a program to improve parenting. Nine (9) mothers with autistic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we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After all interviews have conducted, the interviewer analyzed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with two experts. The founding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we found that the main factors that influence parenting-efficacy are the way that parents and child interacts, communication skills, recognition of the cause of the problem behavior and their coping ability. The understanding of these main factors is necessary in order to construct a successful program that improves parenting-efficacy. The another factor is the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al stages of autistic children. Such understanding will guide mothers to have appropriate developmental expectations toward her child and provide the support appropriate to her child’s developmental stages. Lastly, father’s support is an important aspect in keeping mother’s health optimal. In addition, father also needs to be educated on his role to play to improve parenting-efficacy, such as th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his child’s disorder, the method of the discipline, the participation of the parenting, how to play, and so on.
목차
요약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및 절차
1. 연구대상자 선정
2. 연구 절차
Ⅲ. 연구 결과
1. 자폐성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저하시키는 요인은 무엇인가?
2. 자폐성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증진 요인은 무엇인가?
3. 자폐성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증진을 위한 배우자의 지지에 대한 구체적인 기대유형은 어떠한가?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상호작용 로봇을 이용한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중재 치료에 관한 예비연구
- 아스퍼거 및 고기능자폐 소아청소년의 사회성 증진 요인에 관한 연구
- 자폐성 장애아동을 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 자폐성장애 학생의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관심과 활동에 관한 특수교사의 인식 및 중재 실태
- 발달장애아 어머니 양육체험의 교육적 가능성
- 발달장애인 가정의 가족기능성이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의 특별한 관심을 활용한 교육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통합학급에서 협력적 AAC 지원이 발달장애 학생의 수업참여도 및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사례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청년실업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