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발달장애아 어머니 양육체험의 교육적 가능성

이용수  85

영문명
Educational possibilities on nurturing experience of developmental disorder children’s mother
발행기관
한국자폐학회
저자명
신현정(Shin, Hyun Jung)
간행물 정보
『자폐성장애연구 [ISSN 2005-1778 (Print) / 2671-6992 (Online)]』제15권 제1호, 179~20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4.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아 어머니의 양육체험에서 교육적 가능성을 발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2년 5월부터 2014년 10월까지 약 29개월의 연구기간 동안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수행하였다. 발달장애아 어머니 양육체험 맥락에 대해 현상학적 내러티브의 방법을 활용하여 살펴보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적 가능성을 탐색할 수 있었다. 발달장애아 어머니의 양육체험에는 ‘낙인’, ‘각인’, ‘역능’이라는 생활 모습이 있었다. 그런데 발달장애아를 키운다고 낙인찍힌 어머니의 삶은, 역능에 의해 긍정적 각인과 부정적 각인의 방향으로 나뉘어졌다. 그 역능은 교육적 가능성과 관련되었다. 발달장애아 어머니의 교육적 가능성은 개인 내, 개인 간 상황적 모습이자 노력의 방향이기도 했다. 교육적 가능성은 다음과 같이 드러났다. 첫째, 발달장애아 어머니는 양육체험으로 몸을 통한 학습을 할 수 있었고 둘째, 자신을 감추는 은폐와 자신을 드러내는 현상 ‘사이’에서 자신 삶의 방향을 정했다. 셋째, 다양성의 인정과 지향을 통해 더 이상 자신을 세상의 일반화된 눈으로 보지 않으려 했다. 이는 개인 간에 이루어져야 하는 교육적 가능성의 모습이기도 하다. 넷째, 공동체를 통해 더 나은 삶을 모색하려는 어머니의 시도는 또한 우리 사회가 간과하지 말아야 할 개인 간 노력의 구체적 실현이기도 하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aimed at revealing educational possibilities on nurturing of developmental disorder children s mothers in daily life. For this purpose, interview with them and participant observation were conducted during 29 months. The results of nurturing context and educational possibilities on developmental disorder’s children were revealed by based on a way of phenomenological narrative method as a deeper understanding about mothers with developmental disorder children. Mothers with developmental disorder children had experienced ‘stigma’, ‘engraving’, ‘power’. Especially, the ‘engraving’ had splitted into between positive things and negative things. Positive engraving was related to ‘power’. ‘Power’ was also connected to educational possibilities. Educational possibilities had four aspects as below. First, mothers themselves had experienced nurturing their children vividly by their own lived body. Second, they had tried to set direction by looking into ‘inter’ between ‘concealing’ and ‘revealing(phenomenon)’. Third, they had tried not to see themselves as a generalized sight through approval and intention of diversity. Forth, Seeking community for better life of their own was also a good concrete way to go together with us in order to live happily life. Society also should be responsible for community for all.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참여자 및 연구절차
2.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1. 발달장애아 어머니 양육체험 이야기의 삼차원적 공간분석
2. 발달장애아 어머니의 양육체험의 교육적 가능성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현정(Shin, Hyun Jung). (2015).발달장애아 어머니 양육체험의 교육적 가능성. 자폐성장애연구 [ISSN 2005-1778 (Print) / 2671-6992 (Online)], 15 (1), 179-202

MLA

신현정(Shin, Hyun Jung). "발달장애아 어머니 양육체험의 교육적 가능성." 자폐성장애연구 [ISSN 2005-1778 (Print) / 2671-6992 (Online)], 15.1(2015): 179-2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