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storative Justice and Criminal Mediation System in China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 저자명
- 민수현(Min, Shouxuan)
- 간행물 정보
- 『법학연구』第28卷 第1號, 413~43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se days, the state punishes the perpetrator and sometimes strengthen criminal law to reinforce punishment on the perpetrator based on acts of the perpetrator. Such punitive measures are the restitutive justice we have known well. However, the perpetrator is not necessarily repentant for his/her wrong-doing under such punitive measures. Like this, there is a limit to restitutive justice. Because of the limitations of restitutive justice, we not only accept the punishment on the perpetrator but also have a doubt if it is righteous for only the state have a right of punishment poewer. In order to solve this doubt, we come up with a new paradigm, restorative justice, that is contrary to the exist. Restorative justice is aimed at not simply criticizing the perpetrator but rest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petrator and the victim. On the other hand, criminal mediation system, newly introduced as restorative justice in the revised Criminal Procedure Law of China in 2012, has a significant meaning since criminal mediation system emphasized communication between the perpetrator and the victim and tried to reconcile the perpetrator and the victim through letting the victim participate in the criminal case of the perpetrator. This paper describes the contents of criminal mediation system under the current Criminal Procedure Law, starting from how criminal mediation system as a part of restorative justice could be introduced in China, which has heavy penalty system. In addition, since criminal mediation system does not sufficiently reflect ideology of restorative justice in contrast to intention to implement original idea of restorative justice, the essential meaning of restorative justice has been distorted. To solve the problem, this paper has proposed some improvements.
목차
Ⅰ. 서론
Ⅱ. 회복적 사법의 개관
Ⅲ. 현행법상 형사화해제도의 내용
Ⅳ. 돈으로 형을 사는(花钱买刑) 문제에 대한 비판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개정 UN 소비자보호 가이드라인과 입법 과제
- 실질적 자기결정권 실현수단인 후견계약제도의 활성화에 관한 연구
- 개정 프랑스민법전상 급부반환
- 환경규제의 집행 효과 제고에 관한 一考
- 국민건강보험제도에서 국고지원 규정의 개선방안
- 형법상 자초위난의 유형과 긴급피난의 성립여부
- 중국의 회복적 사법과 형사화해제도
- 일본 소비자제품안전법제에 관한 고찰
- 기업회생절차에서 법원의 역할에 대한 입법론적 검토
- 북한경제특구의 노동복지법제 비교분석
- 우리나라 제품안전법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북한 민법의 변천과 특징
- 헌법과 사법개혁
- 지방분권의 관점에서 본 지방과학기술정책 거버넌스 현황 및 발전과제
- 일본민법 개정안에서의 매도인의 담보책임과 한국민법 개정에의 시사
- 형식주주의 법적 지위
- 미국 소비자제품안전법제의 체계와 시사점
- 취업규칙 불이익 변경 제도 개선을 위한 제언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 수사절차상 스마트폰 전자정보 획득에 관한 헌법적 쟁점 검토
- 로퍼 브라이트 판결을 통한 쉐브론 원칙의 파기와 그 함의 - 미국 행정기관의 법률해석에 대한 사법심사기준의 전환과 권력기능의 재편 -
- 헌법재판 심리절차의 문제점과 제도적 개선방안 - 필요적 변론사건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