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revised United Nations guidelines for Consumer protection and legislative subject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 저자명
- 송민수(Song, Minsu)
- 간행물 정보
- 『법학연구』第28卷 第1號, 239~270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revised United Nations guidelines for Consumer protection, is propose the improvement and organization plan of the Consumer legal system including the Framework Act on Consumers.
Taking into account the interests and needs of consumers in all Member States, particularly in developing ones, recognizing that consumers often face imbalances in economic terms, educational levels and bargaining power and bearing in mind that consumers should have the right of access to non-hazardous products, as well as the right to promote just, equitable and sustainable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these guidelines for consumer protection have the following objectives: (a) To assist countries in achieving or maintaining adequate protection for their population as consumers; (b) To facilitat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patterns responsive to the needs and desires of consumers; (c) To encourage high levels of ethical conduct for those engaged in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goods and services to consumers; (d) To assist countries in curbing abusive business practices by all enterprises at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levels which adversely affect consumers; (e)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independent consumer groups; (f) To further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the field of consumer protection; (g) To encourage the development of market conditions which provide consumers with greater choice at lower prices (h) To promote sustainable consumption. These guidelines apply to business-to-consumer transactions, including the provision of goods and services by State-owned enterprises to consumers. For the purpose of these guidelines, consumer protection policies include the laws, regulations, rules, frameworks, procedures, decisions, mechanisms and programmes of Member States, as well as private sector standards and recommendations that protect consumer rights and interests and promote consumer welfare.
For the purpose of these guidelines, the term “consumer” generally refers to a natural person, regardless of nationality, acting primarily for personal, family orhousehold purposes, while recognizing that Member States may adopt differing definitions to address specific domestic needs. Member States should develop, strengthen or maintain a strong consumer protection policy, taking into account the guidelines set out below and relevant international agreements. In so doing, each Member State must set its own priorities for the protection of consumers in accordance with the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circumstances of the country and the needs of its population, and bearing in mind the costs and benefits of proposed measures.
목차
Ⅰ. 서 론
Ⅱ. 개정 UN 소비자보호가이드라인
Ⅲ. 소비자 정책 및 입법적 과제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개정 UN 소비자보호 가이드라인과 입법 과제
- 실질적 자기결정권 실현수단인 후견계약제도의 활성화에 관한 연구
- 개정 프랑스민법전상 급부반환
- 환경규제의 집행 효과 제고에 관한 一考
- 국민건강보험제도에서 국고지원 규정의 개선방안
- 형법상 자초위난의 유형과 긴급피난의 성립여부
- 중국의 회복적 사법과 형사화해제도
- 일본 소비자제품안전법제에 관한 고찰
- 기업회생절차에서 법원의 역할에 대한 입법론적 검토
- 북한경제특구의 노동복지법제 비교분석
- 우리나라 제품안전법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북한 민법의 변천과 특징
- 헌법과 사법개혁
- 지방분권의 관점에서 본 지방과학기술정책 거버넌스 현황 및 발전과제
- 일본민법 개정안에서의 매도인의 담보책임과 한국민법 개정에의 시사
- 형식주주의 법적 지위
- 미국 소비자제품안전법제의 체계와 시사점
- 취업규칙 불이익 변경 제도 개선을 위한 제언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 수사절차상 스마트폰 전자정보 획득에 관한 헌법적 쟁점 검토
- 로퍼 브라이트 판결을 통한 쉐브론 원칙의 파기와 그 함의 - 미국 행정기관의 법률해석에 대한 사법심사기준의 전환과 권력기능의 재편 -
- 헌법재판 심리절차의 문제점과 제도적 개선방안 - 필요적 변론사건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