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 밖 청소년의 학업 중단 과정 탐색 및학업 중단 인식 연구 -강북 지역 학교 밖 청소년을 중심으로-
이용수 1,524
- 영문명
- A study on the school drop-out process and the perception of the drop-out decisions - Focused on out-of-school adolescents in Kangbuk area -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육성필(Yuk, Sung Pil) 남옥남(Nam, Ok Nam) 박지란(Park, Ji Ran) 박성혜(Park, Sung Hae) 김은영(Kim, Eun Yo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10호, 535~56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5.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학업 중단 과정을 탐색하고 학업 중단에 관한 인식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한 것이다. 이를 위해 2016년 7월초부터 9월말까지 강북 지역의 청소년 16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바탕으로 한 면담을 실시, 분석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면담에 참여한 학교 밖 청소년들은 대부분 현재 실시되고 있는 학업 중단 예방 관련 제도의 적용을 받지 못한 채 비교적 간단 하게 학업 중단을 결정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학업을 중단한 청소년들이 대부분 후회하며 학업 중단을 부정적으로 인식할 것이라는 일반적인 생각과 달리 면담 대상 청소년 중 2/3가 학업 중단 결정에 만족하고 학업 중단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학업 중단 결정을 후회하는 청소년들은 학교생활 부적응 경험의 아픔 으로 인해 학교 복귀에 대해 양가감정을 가지고 있었고, 학업 중단에 만족하는 청소 년들은 모두 학교 복귀를 거부했다. 넷째, 학업 중단에 만족하고 현재 자신의 삶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청소년들의 70%가 사회적 인식, 현실적 어려움 등을 이유로 주변에 학업 중단을 권유하지 않겠다고 응답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업 중단 예방과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지원정책의 다양화가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rop-out process and analyse the perception of out-of-school adolescents of their regret or satisfaction on their drop-out decisions. We hope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out-of-school youths. For study, 16 of out-of-school adolescents in gangbuk area were interviewed.
The research results are like those; First, out-of-school adolescents relatively processed drop-out in short time without application of prevention system on drop-out.
Second, unlike the myth that the almost of out-of-school adolescents might be regret for their drop-out decisions, considerable numbers of adolescents have positive perception. Third, adolescents of the regret group, who had experienced maladjustment in the school life, hesitated to return to school. On the other hand, adolescents of satisfaction group would not like to return to school. Fourth, adolescents of satisfaction group, who had experienced social barrier, didn t recommend drop-ou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policies of prevention to drop-out and intervention for out-of-school adolescents need to be diversifi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Ⅵ.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교사 대상 교수설계 기반 협력적 수업컨설팅 운영전략 개발
- 학습자와 교수자의 요구분석을 통한 대학영어 프로그램 커리큘럼 개발 방안 모색 연구
- 델파이 조사를 통한 진로교육 집중학년‧학기제의 효과적 운영 방안 탐색
- 학교 밖 청소년의 학업 중단 과정 탐색 및학업 중단 인식 연구 -강북 지역 학교 밖 청소년을 중심으로-
- 중등 신규임용교사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연수 교육과정 개발 연구
- 대학생의 역기능적 진로신념과 진로관여행동의 관계에서 우연대처기술의 매개효과
- 영어 교사의 교사 역할에 대한 자기 인식 조사 연구
- 외국인 학부생의 학문적 글쓰기를 위한 ‘바꿔 쓰기’ 교육에 대한 연구
- 전교어린이회 선거활동 참여가 정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생 성별에 따른 정신건강 및 문제행동의 분위별 영향요인 비교
- 어린이집에서 간식으로 전통 떡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연구
- 대학 영어수업에서 협동학습이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 ‘교사리더십 개발을 위한 액션러닝’ 강의 사례 연구
- 문제중심학습 연계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및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교직이수학생의 사회적 책무성, 내재 학업동기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열망 군집유형 비교를 중심으로
- 수중운동이 비만 초등학생의 신체구성과 체력 및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직업가치 및 사회적지지와 진로결정수준 관계에서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
- 의사소통 맥락에서 비사범계 교직과정 이수생의 교육실습과정 탐색
- 간호대학생의 기본간호술기 수행능력, 문제해결과정, 의사소통능력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교사, 학생 및 학부모들의 교육공동체 형성을 위한 요구도 분석
- 드라마 활동이 학생들의 영어 시간 중 상호작용 신장에 미치는 영향
- 국어교육에서 ‘읽기 전 활동’의 유용성 개선 연구 * -‘읽기 전 활동’ 제작 시 점검 기준 제시를 중심으로-
- 프로젝트 학습을 활용한 초등 사회과 통합형 수업의 구성 방안
- 중년기 성인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이 성공적 노화와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 형성 관련 요인 경로분석
- 간호대학생의 학습성과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 의과대학생의 학업소진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