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어교육에서 ‘읽기 전 활동’의 유용성 개선 연구 * -‘읽기 전 활동’ 제작 시 점검 기준 제시를 중심으로-
이용수 289
- 영문명
- Study on ensuring availability of the ‘Pre-reading Activit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ing on the inspection criteria that can be used to make pre-reading activities -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은아(Chung, Eun Ah)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10호, 447~46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5.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국어교육이 학습자의 능동적 읽기 능력을 도모하는 것은 기본 과제이다. 그 여건을 마련하기 위해 ‘읽기 전 활동’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읽기 전 활동’ 에 대한 ‘일반’ 연구에 의하면, 그것은 학습자에게 글에 대한 관심과 몰입을 이끌고 읽고자 하는 동기를 돋울 수 있다. 그런데 ‘읽기 전 활동’에 대한 ‘현장’ 연구는 그것이 교육적 유용성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음을 드러냈는데, 그 원인으로는 ‘다양성’과 ‘적절성’의 미비로 판단되었다. 이에 본고는 교과서 제작자 등이 ‘읽기 전 활동’을 제작·배치 시 타 단원과의 연계선 상에서 ‘다양성’과 ‘적절성’에 대한 인지를 높여그 점을 개선할 수 있는 체크표를 제안했다. ‘다양성 확보’를 위해서는 다양한 활동을 망라한 체크표를, ‘적절성 점검’을 위해서는 기존의 준거(내용 스키마, 형식 스키 마)에 읽기 작용의 중요한 부분인 스키마의 ‘인출’과 ‘보강’을 추가한 분류 준거 체크표를 제안하였다. 두 가지 체크표를 교과서 제작 지침서나 교사용 지도서 등에 제공하여 좀 더 적절한 ‘읽기 전 활동’을 제작·배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읽기 전 활동’의 교육적 유용성을 개선하고 궁극적으로는 학습자가 주체적 읽기 능력을 작동하도록 돕게 될 것이다
영문 초록
Active reading skills in language education is a basic task. Nevertheless,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did not accomplish that. ‘Pre-reading activities’ can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raising that effect. According to the general studies of the ‘pre-reading activity’, learner could get the best reading conditions through it. Therefore, this paper has proposed two checklists in order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pre-reading activity’ and work an improvement its usefulnes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field studies on pre-reading activity pointed out the reason it have not been able to demonstrate its usefulness is the lack of ‘diversity’ and ‘adequacy’ of it. So, this paper presents a check table that can cover all types of ‘pre-reading activity’ to obtain the ‘diversity’. And this paper presents new classification criteria table to obtain the ‘adequacy’. The new criteria(‘withdrawal’ type & ‘reinforcement’ type) is based on a crucial part of reading acting(‘withdrawal’ & ‘reinforcement’ of scheme).
If two checklists are provided in a textbook production guide or a teacher s guide, ‘diversity’ and ‘adequacy’ of ‘pre-reading activity’ could be promote easily. This means that activity will be used by deep understanding of that. This method would make selecting a more appropriate type of ‘pre-reading activity’. Ultimately, Korean language education will be conducted in a more desirable direc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읽기 전 활동’ 유용성 구현을 위한 선행 연구 고찰
Ⅲ. ‘읽기 전 활동’의 유용성 구현을 위한 체크표 제안
Ⅳ. 체크표를 통한 ‘읽기 전 활동’ 점검 예시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교사 대상 교수설계 기반 협력적 수업컨설팅 운영전략 개발
- 학습자와 교수자의 요구분석을 통한 대학영어 프로그램 커리큘럼 개발 방안 모색 연구
- 델파이 조사를 통한 진로교육 집중학년‧학기제의 효과적 운영 방안 탐색
- 학교 밖 청소년의 학업 중단 과정 탐색 및학업 중단 인식 연구 -강북 지역 학교 밖 청소년을 중심으로-
- 중등 신규임용교사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연수 교육과정 개발 연구
- 대학생의 역기능적 진로신념과 진로관여행동의 관계에서 우연대처기술의 매개효과
- 영어 교사의 교사 역할에 대한 자기 인식 조사 연구
- 외국인 학부생의 학문적 글쓰기를 위한 ‘바꿔 쓰기’ 교육에 대한 연구
- 전교어린이회 선거활동 참여가 정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생 성별에 따른 정신건강 및 문제행동의 분위별 영향요인 비교
- 어린이집에서 간식으로 전통 떡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연구
- 대학 영어수업에서 협동학습이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 ‘교사리더십 개발을 위한 액션러닝’ 강의 사례 연구
- 문제중심학습 연계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및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교직이수학생의 사회적 책무성, 내재 학업동기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열망 군집유형 비교를 중심으로
- 수중운동이 비만 초등학생의 신체구성과 체력 및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직업가치 및 사회적지지와 진로결정수준 관계에서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
- 의사소통 맥락에서 비사범계 교직과정 이수생의 교육실습과정 탐색
- 간호대학생의 기본간호술기 수행능력, 문제해결과정, 의사소통능력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교사, 학생 및 학부모들의 교육공동체 형성을 위한 요구도 분석
- 드라마 활동이 학생들의 영어 시간 중 상호작용 신장에 미치는 영향
- 국어교육에서 ‘읽기 전 활동’의 유용성 개선 연구 * -‘읽기 전 활동’ 제작 시 점검 기준 제시를 중심으로-
- 프로젝트 학습을 활용한 초등 사회과 통합형 수업의 구성 방안
- 중년기 성인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이 성공적 노화와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 형성 관련 요인 경로분석
- 간호대학생의 학습성과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 의과대학생의 학업소진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