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Structur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among Self-Leadership, Cultural Values, and Entrepreneurship of High-School Student

이용수  86

영문명
Structur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among Self-Leadership, Cultural Values, and Entrepreneurship of High-School Student
발행기관
리더십학회
저자명
김은주(Kim Eun Joo) 성명희(Seong Myeong Hee)
간행물 정보
『리더십연구』제8권 제2호, 111~141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3.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래경제활동의 중심이 되는 고등학생의 기업가 정신을 함양하는데 셀프리더십과 문화가치가 어떠한 구조적 관계에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자료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2014년 초,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청소년 기업가 정신 함양 및 창업 활성화 방안연구’와 관련된 인식조사 자료 중 고등학생 2,423명 중 주요변수에 결측치가 있는 대상을 제외한 2,280명을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한 연구모형에서 각각의 변수들이 고등학생의 기업가 정신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설정하였으며, 이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실제 자료와 적합한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고등학생의 셀프리더십, 문화가치, 기업가 정신 간의 관계는 모두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고등학생의 셀프리더십은 문화가치와 기업가 정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기업가 정신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보다 문 화가치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고등학생의 셀프리더십은 문화가치를 매개로 기업가 정신에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결과는 고등학생의 기업가 정신 개발을 위해 셀프리더십과 문화가치에 대한 교육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으며, 특히, 고등학생의 기업가 정신을 함양하는데 있어서 셀프리더십이 중요할 뿐만 아니라 매개효과로서 문화가치가 고등학생의 기업가 정신을 개발하기 위한 교육내용으로서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지금까지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기업가 정신 함양 교육지원과 연구가 부족한 실정에서 본 연구는 의미가 있다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elf-leadership, cultural values, and entrepreneurship of high-school students. To accomplish this, the datathis, the data in “instead of investigation on the foster to entrepreneurship and activate to founded of elementary, middle, high-school students in 2014”was used, which was selected from the NTPI cross-sectional survey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Data for the analysis was limited to the analysis objects who made sincere replies on the major variables, and 2,280 student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self-leadership and cultural values have a direct effect to entrepreneurship of high-school students, while the direct effect of self-leadership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the cultural values. Also, the study showed the self-leadership has an indirect effect on entrepreneurship as a medium for cultural values of high-school student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Method
Ⅳ. Results
Ⅴ. Discus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주(Kim Eun Joo),성명희(Seong Myeong Hee). (2017).Structur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among Self-Leadership, Cultural Values, and Entrepreneurship of High-School Student. 리더십연구, 8 (2), 111-141

MLA

김은주(Kim Eun Joo),성명희(Seong Myeong Hee). "Structur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among Self-Leadership, Cultural Values, and Entrepreneurship of High-School Student." 리더십연구, 8.2(2017): 111-1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