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코칭리더십과 맥락수행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
이용수 588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in the Links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Contextual Performance
- 발행기관
- 리더십학회
- 저자명
- 지성호(Sung ho Ji) Lanlan Kong
- 간행물 정보
- 『리더십연구』제8권 제2호, 33~5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3.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리더십 연구에서 리더십과 수행의 관계를 연결하는 중재변수로 기본심리욕구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코칭리더십과 맥락수행의 관계에서 기본 심리욕구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제주지역에 소재하는 호텔 및 관광 서비스업종 종사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실증분석에는 226명으로부터 획득된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코칭리더십은 자율성과 관계성 욕구를 촉진하나, 유능성욕구에는 영향력이 없었다. 또한 관계성 및 유능성 욕구는 맥락수행의 원인이 되나, 자율성욕구는 영향력 관계가 없었다. 매개효과의 경우, 코칭리더십-관계성욕구-맥락수행의 경로만 유의하였으며, 양자관계가 부분 매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리더십과 수행의 관계에 있어 한국인을 대상으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있으며, 매개변수로써 기본심리욕구의 중요성을 입증하고 있다. 나아가 리더십 분야에서 기본 심리욕구와 관련한 연구자들의 관심을 유도하며, 후속 연구와 관련된 유용한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하고 있다.
영문 초록
Basic psychological needs as an intervening variable in the links of leadership and performance, have a rising concern in recent researches. Accordingly, this research attempted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contextual performance. The data which was applied to analysis was collected from 226 employees who have worked for hotels and tourism service companies in Jeju. The results
indicated as followed. First, needs for autonomy and relatedness were positively affected by coaching leadership, whereas need for competence was not significant. Second, relatedness and competence need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ontextual performance, however the influence of autonomy need on contextual performance was not supported. Finally, only the path of coaching leadership → need for relatedness → contextual performance was partial
mediated. The findings which examined the mediating influence of basis psychological needs in the relation of leadership and performance suggest the importance of basis psychological needs as a mediating variable. Additionally, the results arouse the attention of researchers on basic psychological needs in leadership research area, and give a few usefu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및 가설설정
Ⅲ. 연구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