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상호작용 공정성이 창의성과 과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646

영문명
The Effects of Interactional Justice on Creativity and Task Performance: Meaning of Work as a Mediator and Locus of Control as a Moderator
발행기관
리더십학회
저자명
박정원(Jeong Won Park) 손승연(Seung Yeon Son)
간행물 정보
『리더십연구』제8권 제2호, 5~3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3.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상호작용 공정성이 조직 혁신의 핵심인 창의성과 조직 효과성의 기초인 구성원의 과업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이 과정에 내재된 메커니즘의 일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문헌 및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구성원에 대한 배려 및 존중으로 대변되는 리더의 공정한 행동이 조직 경쟁우위의 원천인 구성원의 창의성과 조직 효과성 및 기능의 토대이자 기본 구성요소인 구성원의 과업성과를 높일 것이라고 가정하고 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상호작용 공정성이 창의성 및 과업성과에 정적인 이유가 구성원의 역량과 존재에 대한 가치 인정을 통해 구성원이 자신의 일에 부여하는 의미를 높임으로써 결과적으로 창의성 및 과업성과가 높아진다고 보고 일의 의미의 매개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구성원의 개인특성인 통제위치에 따라 상호작용 공정성에 대한 인식 및 반응이 차이가 날 것으로 가정하고 이의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가설의 검증을 위해 해군 간부(장교 및 부사관) 상사-구성원 238쌍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상호작용 공정성은 창의성과 과업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성원의 일의 의미가 상호작용 공정성의 영향력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상호작용 공정성이 구성원의 일의 의미를 높여주고 이로 인해 구성원의 창의성과 과업성과가 증진됨을 알 수 있다. 또한 구성원의 통제위치가 내적일수록 상호작용 공정성과 일의 의미 간의 관계가 더 강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결과 일의 의미를 통한 상호작용 공정성의 간접효과는 구성원의 통제위치가 외적일 때보다 내적일 때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구성원의 창의성과 과업성과의 증진을 위해 현장의 상사가 상호작용 공정성을 발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아울러 그렇게 상사가 구성원을 공정하게 대해야 하는 이유가 구성원으로 하여금 자신이 수행하는 일에 더욱 많은 가치와 의미를 부여하고, 이로 인해 더욱 많은 노력과 열정을 업무에 쏟게 하기 때문이라는 타당한 설명을 제공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환경 및 과업에 대한 개인적인 통제감과 자기결정 정도인 통제위치에 따라 상호작용 공정성의 효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상호작용 공정성 효과의 경계조건을 확인하고, 아울러 상호작용 공정성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어떤 조직적 노력이 필요한지를 말하고 있다. 연구의 말미에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Creativity and task performance are essential for leader’s excellent performance and effective organizational functioning. Decisions by employees to engage in these important discretionary behaviors are based on how they receive treatment from their supervisors. This study had three objectives. First, we sought to ascertain the effects of Interactional justice on employee s creativity and task performance. Second, we investigated whether the impact of interactional justice on creativity and task performance is mediated by meaning of work. Third, this study tested the moderating effect of employee s locus of control.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upervisor-subordinate dyads in the Republic of Korea Navy by postal mails or direct visits. All of the items except demography were measured on a seven-point Likert scale (ranging from 1 = strongly disagree to 7 = strongly agree). A total of 238 matched dyadic data was used for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for testing hypotheses. Specifically, we adopted Baron & Kenny(1986) methods to examine the mediating model. Also we used SPSS macro to verify the moderated mediating model. SPSS bootstrapping methodology does not assume the data’s normal distribution. Thus, we determined the significance of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based on the confidence interval suggested by the bootstrapping method.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 and creativity, and interactional justice and task performance. Furthermore, mediating model analysis exhibited that the effect of change-oriented leadership behavior on creativity was partially mediated by meaning of work. We also found that employee s locus of control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 and meaning of work such that interactional justice is more positively related to meaning of work when locus of control is low (i.e., internal) than locus of control is high (i.e., external). Finally, this study supported the hypothesized moderated mediation model, demonstrating that the magnitude of the indirect effect was contingent upon the level of employee s locus of control. Based on these findings, theoretical and empir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including the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 of the study.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정원(Jeong Won Park),손승연(Seung Yeon Son). (2017).상호작용 공정성이 창의성과 과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리더십연구, 8 (2), 5-32

MLA

박정원(Jeong Won Park),손승연(Seung Yeon Son). "상호작용 공정성이 창의성과 과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리더십연구, 8.2(2017): 5-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