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외상성 타액종류
이용수 0
- 영문명
- Sialocele : report of a case and review of literture
- 발행기관
-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 저자명
- 김종렬(Jong Ryoul Kim) 권우철(Woo Cheol Kwon) 곽병학(Byung Hak Kwak)
- 간행물 정보
-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제20권 제2호, 255~262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내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4.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When parotid duct or gland is lacerated and functional primary repair is not accomplished, three potential complications can occur : sialocele, extraoral salivary fistula and salivary cyst. Sialocele is subcutaneous cavity of saliva which is extravasated from traumatized duct or gland.
When the primary injury causing the sialocele is an injured duct, three basic methods of treatment are possible. Basically, the salivary flow must be directed intraorally as extraoral pressure is applied to the region of subcutaneous saliva extravasation, preventing an extraoral fistula. Concomitant daily aspirations of the sialocele may be required.
If a sialocele occurs, one should fist attempt the insertion of a catheter via Stensen s duct into the region of the sialocele to direct drainage intraorally, aspirate the sialocele as necessary, and apply an external pressure dressing. If this fails, reexploration and anastomosis of the duct should be attempted. If anastomosis of the duct proves impossible, the proximal duct should be ligated with several silk sutures. The following case illustrates the effective treatment of sialocele by these methods.
A 50-year-old man was sent to our department for evaluation of right preauricular swelling. He had deep facial laceration after automobile accident. One week after primary closure, 3.0cm×3.0cm×2.0cm-sized flucturant mass developed. At aspiration, clear yellowish serous water was seen. Sialogram showed accumulation of contrast media at right parotid gland and remnant of contrast media at excretory duct which represents pocket formation. We attempted duct exploation and excision of sialocele. A pressure elastic bandage was applied for 15 days after operation. He had no further complication nor recur after that treatment.
목차
Abstract
I. 서론
II. 증례보고
III. 고안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하악골에서 두개저까지 광범위하게 발생한 신경섬유종의 치험례
- 관상피판 접근법을 이용한 수술례의 임상적 연구
- 유리 혈관화 비골판을 이용한 하악골 재건의 임상적 연구
- 하악골과 치은에 전이된 간암종
- 우측 상악동을 포함하는 거대 법랑아 세포종성 치아종의 치험례
- 변형의 대흉근피판을 이용한 구강악안면부위 재건술
- 유리 광배근피판을 이용한 안면부 복합재건 치험례
- 악안면 손상후 Serum Transaminase 수치의 변화에 관한 연구
- 두부손상을 동반한 악안면외상에 대한 임상적 연구
- 치은상피의 배양에 관한 연구
- 외상성 타액종류
- 하악 치은암의 예후에 관한 임상적 연구(방사선학적 골흡수상과 예후와의 관계)
- 가토 하악 과두 동종이식시 냉동보존제가 과두 연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가토 대퇴골골에 중첩이식된 단순냉동 및 냉동 건조 동종골의 치유과정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자가 및 동종이연골을 이용한 가토 하악 관절원판재건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내과학분야 BEST
- 결핵성 중이염 1예: 오랜 질병의 재발견
- 음성치료의 개요
- Electrophysiological biomarkers in neurodegenerative diseases: recent advances and clinical implications
의약학 > 내과학분야 NEW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의 발자취
- 노년 환자의 일차 구개열 수술 후 임플란트를 이용한 오버덴쳐: 증례보고
- Prevalence and Three-Dimensional Craniofacial Characteristics of Microtia in Orthodontic Patients: A Retrospective CBCT Analysi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