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하악골과 치은에 전이된 간암종
이용수 2
- 영문명
- The metastatic hepatocellular carcinoma to the mandible and gingiva(report of two cases)
- 발행기관
-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 저자명
- 정제용(J Y Jung) 차인호(I H Cha) 이충국(C K Yi) 강승민(S M Kang) 김진(J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제20권 제2호, 233~239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내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4.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t has been widely accepted that distant metastasis of the hepatoma to the other organs so readily occurs that about 50% of cases are discovered to have already been metastatic at an appointement of diagnosis.
The prognosis of hepatoma mainly depends on the size, shape and residual function of the liver, and not so much concern was given to the distant metastasis. But recently, by the means of early detection, embolization of hepatic artery and radiotherapy, survival period of the patients is getting longer. And as a result the distant metastasis is more emphasized. Hepatoma metastasizes primarily to lung, and in the order of lymph node in the abdominal cavity, parathyroid gland, and bone. In a few cases, the biopsy of the metastatic area reveals that the primary site is the liver.
Primary hepatoma, metastatic to the mouth are and most cases are diagnosed that primary site of occurrence is liver, through the biopsy at the time of visit due to the mass in the oral cavity.
In this context, the authors report 2 cases of primary hepatoma which metastasized to the mandible and gingiva. One case, a 60 year old man in 1988, was diagnosed by the biopsy because of the mass in the left mandibular body and the ramus, after that the abdominal ultrasonography and abdominal computerized tomography were done to identify the metastasis of the hepatoma. Resultantly the final diagnosis was primary hepatoma that metastasized to the mandible. And the other case, 61 year old man in 1992, was diagnosed through the intraoral biopsy and hepatocellular aspiration because of the rapidly growing mass on the gingiva. This case was also diagnosed to be a primary hepatoma.
목차
Abstract
I. 서론
II. 증례 보고
III. 총괄 및 고찰
IV. 요약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하악골에서 두개저까지 광범위하게 발생한 신경섬유종의 치험례
- 관상피판 접근법을 이용한 수술례의 임상적 연구
- 유리 혈관화 비골판을 이용한 하악골 재건의 임상적 연구
- 하악골과 치은에 전이된 간암종
- 우측 상악동을 포함하는 거대 법랑아 세포종성 치아종의 치험례
- 변형의 대흉근피판을 이용한 구강악안면부위 재건술
- 유리 광배근피판을 이용한 안면부 복합재건 치험례
- 악안면 손상후 Serum Transaminase 수치의 변화에 관한 연구
- 두부손상을 동반한 악안면외상에 대한 임상적 연구
- 치은상피의 배양에 관한 연구
- 외상성 타액종류
- 하악 치은암의 예후에 관한 임상적 연구(방사선학적 골흡수상과 예후와의 관계)
- 가토 하악 과두 동종이식시 냉동보존제가 과두 연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가토 대퇴골골에 중첩이식된 단순냉동 및 냉동 건조 동종골의 치유과정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자가 및 동종이연골을 이용한 가토 하악 관절원판재건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