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리 혈관화 비골판을 이용한 하악골 재건의 임상적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Mandibular reconstruction with free vasularized fibular flaps
- 발행기관
-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 저자명
- 이종호(Jong Ho Lee)
- 간행물 정보
-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제20권 제2호, 206~215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내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4.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With advent of microsurgical tissue transfer, various vascularized bone composite tissues from the available donor sites have been used for the mandibular reconstruction. Among these, the fibular flap has been reported to have many advantages over the others.
The clinical data of 14 consecutive cases, in which free vascularized fibular graft with or without skin paddle has been used to reconstruct defective mandibles, including the operative and postoperative results were assessed. In seven patients, the mandibular defect was reconstructed secondarily and the others, primarily. The average length of the fibula segment harvested was 17.7cm, with a range of 12~22cma. In 10 flaps, a skin paddle was also harvested(average size of it was 7.1×3.4cm). The number of wedge osteotomies ranged from 0 to 4, with an average of 1.67. The donor wound was closed directly except three cases. Vein grafts were performed in five cases to lengthen the pedicle. In two cases out of ten where the skin paddle was included, the skin was partially appearances were fair to excellent, with the mouth opening ranges 21 to 50mm. Immediately after the operation, all the patients showed some minor identifiable weakness of the flexor hallucis longus action.
Free vascularized fibular flap provided a long length of rigid, strong cortical bone which was very similar to the mandible in dimensions. The skin paddle was reliable in contrast to the general opinion that it is unreliable. Furthermore, the donor site morbidity was low.
목차
Abstract
I. 서론
II. 대상 및 방법
III. 결과
IV. 고찰
V.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하악골에서 두개저까지 광범위하게 발생한 신경섬유종의 치험례
- 관상피판 접근법을 이용한 수술례의 임상적 연구
- 유리 혈관화 비골판을 이용한 하악골 재건의 임상적 연구
- 하악골과 치은에 전이된 간암종
- 우측 상악동을 포함하는 거대 법랑아 세포종성 치아종의 치험례
- 변형의 대흉근피판을 이용한 구강악안면부위 재건술
- 유리 광배근피판을 이용한 안면부 복합재건 치험례
- 악안면 손상후 Serum Transaminase 수치의 변화에 관한 연구
- 두부손상을 동반한 악안면외상에 대한 임상적 연구
- 치은상피의 배양에 관한 연구
- 외상성 타액종류
- 하악 치은암의 예후에 관한 임상적 연구(방사선학적 골흡수상과 예후와의 관계)
- 가토 하악 과두 동종이식시 냉동보존제가 과두 연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가토 대퇴골골에 중첩이식된 단순냉동 및 냉동 건조 동종골의 치유과정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자가 및 동종이연골을 이용한 가토 하악 관절원판재건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