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뮤지컬 넘버 배치와 플롯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이용수 575
- 영문명
- Research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lacing of musical numbers and the plots. : The case study of Musical 「West Side Story」’s ‘Tonight-Quintet’
- 발행기관
-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 저자명
- 이주영(Lee, Joo-Young)
- 간행물 정보
-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제11권 2호, 121~14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8.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뮤지컬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를 통하여 어떻게 드라마 형성소들이 다층적으로 그려져 있는지 분석한다. 이와 동시에 뮤지컬 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넘버의 배치가 어떠한 미적효과를 가져오는지를 증명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뮤지컬에서 넘버는 그 자체만으로도 서사가 진행이 되며, 그 배치에 따라 극적 기능을 달리한다. 즉, 뮤지컬 넘버 그 자체가 플롯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극적 분위기를 암시하고, 주인공의 심경을 표현하며, 극적 갈등 인자인 동시에 극적 회복의 기능을 지니는 등 스토리가 아닌 플롯으로서의 기능을 지니는 것이다. 특히 ‘투나잇-오중창’의 경우, 공간분할을 통해 표현되는 다섯 가지의 욕망의 대립으로 인하여, 극적 긴장감을 극도로 상승시켜 작품의 클라이맥스 역할을 지닌다. 하나의 넘버 안에서 다섯 가지의 이야기를 분리시키고, 그것을 유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서 한 작품이 시사하는 테마와 목적을 드러낸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을 통해 뮤지컬의 넘버가 플롯으로서 어떻게 역할을 하느냐에 따라 극의 완성도가 결정된다는 사실을 밝히고자 한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하여 향후 뮤지컬 넘버와 플롯을 구조화시키는 데 길잡이역할을 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analyze the formative elements of drama — weaved in a multi-dimensional manner — in the lens of 「West Side Story」. The other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e how the placing of musical numbers in various forms can exert an aesthetic influence on the work. In musical, numbers speak (‘narrate’ would be a better word in the context of this research) for themselves, and depending on where and how they are placed, the impact of the drama varies. In other words, numbers in musical serve the function of a plot rather than that of a story. Numbers hint to the atmosphere of designated scenes, and resonate the characters’ inner voice. And while they plant and grow the seeds of drama and conflict, numbers also provide the resolution and the cure. ‘Tonight-Quintet’ makes it very evident how the piece reaches its climax from the escalated tension amongst five conflicting desires, expressed in separate dimensions. Separating five plots within one number and connecting them organically, does define the theme and purpose of the piece, in our case, 「West Side Story」. At the end of this document, readers will be able to see that the overall quality of a musical really depends on how well the numbers serve their purpose as a plot. We also want this research to serve as a guidance and framework to structure numbers and plots for musicals hereafter.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