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e-PBL 수업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04
- 영문명
- Effects of e-PBL for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n the Environmental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하림(Jung, Ha-Rim) 정남용(Chung, Nam Y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3권 제3호, 149~17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e-PBL 수업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과 6학년 ‘환경을 살리는 나의 생활’ 단원 내용을 기반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서의 e-PBL 수업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서의 e-PBL 수업을 실험반에, 전통적 수업을 통제반에 적용하는 이질통제집단 전후검사설계를 바탕으로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자료는 윈도우용 SPSS 14.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e-PBL 수업을 적용한 지속가능한 환경교육에 관
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e-PBL 수업이 환경 소양의 함양에 더 효과가 있음이 나타났다.
둘째, 환경 소양의 하위 구성요소에 대한 비교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e-PBL 수업을 실시한 집단의 인지적․정의적 영역에서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나 행동적 영역에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effects of e-PBL for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n the environmental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ith e-pbl on the unit of My Environmental-friendly Life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elementary school 6th grade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tilized in the study and collected research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WIN 14.0 program.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PBL for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has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the environmental litaracy of students.
Second, in comparing the subordinate areas of environmental litaracy, the e-PBL for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congnitive and the affective areas have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the environmental litaracy of student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behavioral area between two group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생의 교육 경험 및 인식을 중심으로 한 성희롱·성폭력 예방교육 실태
- 특허청 발명교육 정책의 방향과 과제
- 초등학생의 의생활 태도 함양을 위한 의복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e-PBL 수업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영향
- 초등 발명영재 판별을 위한 관찰 평가 기준 개발 연구
- 발명설계 프로세스 기반 발명영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초등 예비교사의 발명교육에 대한 관심도:
-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이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관계
- 초등학교에서의 교과기반 통합식생활교육 적용 방안 연구(I)
- 식생활 중심으로 한 초등학생 녹색소비자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해방 이후 초등 실과 식생활 교육의 역사와 방향
- 한국 기술교사 자격기준에 터한 신규기술교사의 교육요구도
-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예비학부모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렉섬 사례를 중심으로
- 성인 문해능력 수준 결정요인의 변화 양상: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2014년과 2023년 비교 연구
- 학습도시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