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생의 교육 경험 및 인식을 중심으로 한 성희롱·성폭력 예방교육 실태
이용수 346
- 영문명
- A Study on Children s Experiences and Recognitions of Preventive Education against Sexual Abuse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윤지현(Yoon, Ji Hyun)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3권 제3호, 59~7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들의 성희롱·성폭력 예방교육에 대한 경험과 성희롱·성폭력에 대한 인식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이루어졌으며, 춘천시내 초등학교 3곳에서 총 27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예방교육에 대한 경험을 분석한 결과 현재 초등학교에서는 대다수의 학생들이 성희롱·성폭력 예방교육을 받고 있었으나 남학생과 고학년에서 그 효과가 현저히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외부전문가나 담임교사에 의한 교육이 이루어지는 저학년에 비해 고학년은 주로 보건교사에 의해 강의에 의존하여 교육이 이루어지며 도움이 되는 정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예방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남학생과 고학년이 여학생과 저학년에 비해 부정적이었다.
성교육의 효과 역시 남학생과 고학년에서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성에 대한 고민은 여학생과 저학년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에 대한 이야기 상대로 여학생들은 남학생들에 비해 엄마를 선생님보다 더 신뢰하고 있었다. 아빠와는 남녀 모두 성에 대한 이야기를 거의 하지 않지만 엄마 다음으로 도움을 받고 싶은 사람으로 조사되어 아빠와 선생님의 역할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희롱·성폭력 인식에 대한 차검증 결과 성별·학년별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아동들은 성폭력에 대한 오개념을 상당수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 결과 성희롱·성폭력에 대한 정확한 개념과 구체적인 예방·대처능력을 길러줄 필요가 있으며 특히 남학생과 고학년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담임교사를 위해 성희롱·성폭력 예방교육 연수기회를 의무화하고 실과교과 등 관련 교과에서 접근할 수 있는 다양한 컨텐츠의 보급과 연구가 시급하며, 부모교육과 이에 대한 교사의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children(1-6grade) s experiences and recognitions of preventive education against sexual abuse. For this purpose 270 primary school students were suggested in Chuncheon city in South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most of students involved in preventive education of sexual abuse, but boys group and older students(4-6grade) group which were taughted by school nurse(teachers) in lecture method, especially appeared very low education effects and negative attitude about the education.
Second, boys group and older students(4-6grade) group also appeared very low educational effects of general sex education. Girls group more rely on mothers than teachers when talking about sexual topics. No group talked about sexual topics with father, but students wanted to need help from father. So there were needed to special concern about father and teacher s roles.
Third, the recognitions of sexual abuse did not appeared any significant differents by age and sex variables. But Children showed serious mis-concept of sexual abuse like adults.
As results, correct recognitions and concrete preventive method needed in children s preventive education programs of sexual abuse. Especcially boys group and older grade students need to special program, and class teachers needed intensive re-training program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생의 교육 경험 및 인식을 중심으로 한 성희롱·성폭력 예방교육 실태
- 특허청 발명교육 정책의 방향과 과제
- 초등학생의 의생활 태도 함양을 위한 의복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e-PBL 수업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영향
- 초등 발명영재 판별을 위한 관찰 평가 기준 개발 연구
- 발명설계 프로세스 기반 발명영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초등 예비교사의 발명교육에 대한 관심도:
-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이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관계
- 초등학교에서의 교과기반 통합식생활교육 적용 방안 연구(I)
- 식생활 중심으로 한 초등학생 녹색소비자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해방 이후 초등 실과 식생활 교육의 역사와 방향
- 한국 기술교사 자격기준에 터한 신규기술교사의 교육요구도
-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예비학부모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렉섬 사례를 중심으로
- 성인 문해능력 수준 결정요인의 변화 양상: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2014년과 2023년 비교 연구
- 학습도시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