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Understanding Practical Arts Curriculum from Core Competency Perspective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고인규(Go, In-Gyu) 최지연(Choi, Ji-Yeon)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9권 제4호, 23~4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핵심역량의 관점에서 1차부터 5차 교육과정까지의 실과교육과정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지금의 실과 교육에서의 핵심역량을 도출하는 것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빅데이터 분석 방법 중 하나인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교육과정에서 사용된 단어의 연관성을 분석한 후 이를 근거로 각 교육과정의 핵심 역량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도출된 핵심역량은 컴퓨터 활용 능력, 생활 실천 능력, 합리적 소비판단 능력, 생활 기능 능력, 설계 공작 능력, 생활 관리 능력, 산업 사회 및 직업 문해, 관계 형성 능력, 공동체 역량, 여가 선용 능력 이었다.
1차부터 5차 교육과정의 분석을 통해 도출된 역량은 크게 4가지 관점에서 논의될 수 있는데 이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처음으로 제시된 실과 교과역량과도 연관되어 있다. 먼저 생활 기능 능력, 설계·공작 능력은 기능적 측면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제시되지 않은 새로운 하나의 역량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합리적 소비판단 능력, 생활 관리 능력, 생활 실천 능력은 2015 교육과정의 생활자립능력이나 실천적 문제해결능력과 관련하여 또 다른 역량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공동체 역량, 관계형성능력은 2015 개정교육과정에서의 관계 형성능력과 관련하여 대안적 용어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산업 사회 및 직업 문해, 여가 선용 능력은 산업 사회와 직업의 세계 이해 및 여가 선용이라는 실과의 새로운 역량이 될 수있을 것이다. 컴퓨터 활용 능력 역시 실과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의 전격적 도입과 관련하여 실과 고유의 역량으로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tent of the practical arts curriculum from the first to the fifth curriculum in terms of core competencies and to derive core competencies in the present practical arts education through this. In this study, we applied the network analysis method, one of the big data analysis methods, to analyze the relevance of words used in the curriculum.
The core competencies derived from the research are computer literacy, life practice ability, reasonable consumption judgment ability, life function ability, design work ability, life management ability, industrial society and job literacy, relationship formation ability, community ability, leisure ability. Competencies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of curriculum can be discussed in four perspectives. This is also related to the competencies for the first time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Life functioning ability, designing and engineering ability can be presented as a new competencies that is not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terms of function.
Reasonable consumption judgment ability, life management ability, and life practice ability can be presented as another ability related to the ability of living in 2015 curriculum and solving practical problems. Relationship formation ability, community ability could be used in alternative terms in relation to the competencies to build relationship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dustrial society and job literacy and leisure ability can be new competencies of practical arts. Computer literacy can also be a new competency of practical ar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요약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식재산보호 교사연수 프로그램 효과 및 개선 방안 연구 : 만족도 및 중요도 - 수행 자신감 분석을 중심으로 ***
-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바이오필리아와 소프트 스킬의 관계 분석
- 예비 초등교사를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초한 의생활영역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 교육대학교에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발명수업 설계 방안
- 초등예비교사의 당류 섭취 실태 및섭취 저감화에 대한 인식
- 핵심역량 관점에서 본 실과 교육과정의 이해 -1955~1987년 1~5차 실과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포스트 디지털 시대의 의생활 변화와 초등의생활교육
- 초등 실과 창의적 제품 만들기 중단원에서 전통 민속놀이 기구 만들기 및 놀이 체험을 통한 창의 인성 함양 프로그램 개발
- 초등 실과 수송기술 영역의 구성방향 탐색
- 초등 예비교사의 실과와 실과수업에 대한 이미지: ‘실과교수법’ 강의의 효과 분석
- 초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타인과 친구에 대한 사이버불링에 미치는 영향: 불안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Comparative Case Study on Material Perceptions and Sensory Responses of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C ultural Insights f or T extile E ducation
- Acceptance and Effects of Generative AI Tools: A TAM-Based Analysis in Fashion Education
- 기후 변화 대응 실천 지향 교수학습 적용을 위한 초⋅중등 가정과 교육 관련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