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습기 폐질환(Humidifier Lung)의 환경적 원인 인자 고찰
이용수 113
- 영문명
- Review of Humidifier Lung Cases Caused by Use of Humidifier - Focusing on Probable Environmental Causal Agents -
- 발행기관
- 한국환경보건학회
- 저자명
- 박동욱(Donguk,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환경보건학회지』제39권 제2호, 105~11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공학 > 환경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4.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Background: In Korea, there is low awareness of the respiratory health problems caused by the use of
humidifiers, leading to a lack of governmental measures.
Objectiv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review cases of varying degrees of humidifier lung and fever in
connection with the use of humidifiers and to summarize the probable environmental agents causing these cases.
Methods: We searched all articles reporting on humidifier lung, humidifier fever, and humidifier diseases caused
by the use of a humidifier both at home and in the workplace.
Results: We summarized a number of cases of varying degrees of respiratory diseases resulting from inhalation
of water mist of humidifiers containing various species of bacteria and fungi and their toxins. Type of respiratory
disease connected with humidifier lung includes interstitial pneumonitis, hypersensitivity pneumonitis, fever and
several respiratory symptoms. Non-tuberculous mycobacteria (NTM), Actinomycetes, endotoxins and
contaminated humidifier water were the most commonly suspected probable environmental agents causing
humidifier lung. In Korea, the use of humidifier biocide is suspected as a likely cause of fatal lung injury
including death and lung transplantation.
Conclusion: Governmental policy should be devised and measures including a national surveillance system
should be taken to prevent humidifier lung caused by the use of humidifier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가습기 폐질환(Humidifier Lung)의 환경적 원인 인자 고찰
- OECD QSAR Application Toolbox를 이용한 화학물질의 건강유해성 및 생태독성 예측
- 서울시 수계시설에서 분리된 Legionella pneumophila의 분자역학적 특성
- 일부 지역 주민들의 모발 수은 농도와 혈중 수은 농도와의 상관성
- 멀티 플라즈마 반응기를 이용한 E. coli 소독
- 대학가 주변 원룸의 라돈(radon) 농도 평가
- 서울시 백화점 내 조리지역과 비조리지역의 입자상 물질(Ultrafine Particles, PM2.5, PM10) 노출
- 대기 중 PCBs의 PAS에 이용되는 여러 매체의 PCBs 침착 특성
- 서울시내 소화기 및 호흡기 환자에서 분리한 엔테로바이러스 감염실태 및 유전형분석
- 소나무잎을 PAS로 이용하여 지역별 대기 중 PCBs 농도 추정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