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아내사시의 술 전 원시값에 따른 수술결과 분석
이용수 13
- 영문명
- Surgical Outcomes Dependent on the Amount of Hyperopia in Infantile Esotropia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유정(Yu Jeong Kim) 신광훈(Kwang Hoon Shin) 백혜정(Hae Jung Paik)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7,number11, 1752~1758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영아내사시에서 원시 굴절값에 따른 장, 단기 수술결과 및 수술량에 따른 수술효과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7년부터 2011년까지 영아 내사시로 진단, 양안 내직근후전술을 받고 수술 후 36개월 이상 경과관찰이 가능했던 80명의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조절마비검사 구면렌즈대응치에서 원시 굴절값이 +3.0D 미만(non-high hyperopia, NH)인 비고도원시군(59명)과 +3.0D 이상(high hyperopia, HH)인 고도원시군(21명)으로 분류하여, 수술 후 3개월째, 수술 후 3년째 수술성공률 및 수술 단위(mm)당 내편위교정량(PD)인 수술효과-수술량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술 전 편위각은 비고도원시군 44.8 ± 10.2PD, 고도원시군 42.7 ± 11.6PD로 유사하였고(p=0.450), 양안 내직근후전술 후 수술 성공률은 비고도원시 69.5% (41/59), 고도원시 71.4% (15/21) (p=0.837), 부족교정률은 비고도원시 23.7% (14/59), 고도원시 9.5% (2/21) (p=0.191), 과교정률은 비고도원시 6.8% (4/59), 고도원시 19.1% (4/21) (p=0.138)로 통계적으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수술효과-수술량은 수술 후 3개월째 비고도원시 3.9PD/mm와 고도원시 4.3PD/mm로 차이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p=0.105), 수술 후 3년째 고도원시군에서 외편위가 진행되어 비고도원시 3.9PD/mm와 고도원시 4.9PD/mm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0). 약시의 비율은 비고도원시 8.5% (5/59), 고도원시 23.8% (5/21)로 차이는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p=0.146).
결론: 영아내사시에서 수술 성공률은 술 전 원시값에 따른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수술단위 길이당 내편위 교정효과는 수술 후 3개월째는 두 군 간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수술 후 3년째는 고도원시군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술 전 +3.0D 이상의 고도원시값을 가진 영아 내사시 환자는 과교정에 유의하여 수술량의 조정이 필요하며, 특히 수술 후 장기간의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대한안과학회지 2016;57(11):1752-1758>
영문 초록
Purpose: In the present study, short-term and long-term surgical outcomes dependent on the amount of hyperopia in patients with infantile esotropia were analyzed.
Methods: In this study, 80 patients with infantile esotropia who underwent both medial rectus recession from 2007 to 2011 and followed up for at least 36 months were retrospectively examined.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degree of hyperopia: ≥ +3.0 D (high hyperopia [HH], n = 59 patients) and < +3.0 D (non-high hyperopia [NH], n = 21 patients). Clinical characteristics analyzed included surgical success rate and dose-response relationship at the 3-month and 3-year postoperative follow-ups.
Results: Initial preoperative alignment (NH: 44.8 ± 10.2 PD, HH: 42.7 ± 11.6 PD, p = 0.450), surgical success rates (NH: 69.5% (41/59), HH: 71.4% (15/21), p = 0.837), under-correction rates (NH: 23.7% (14/59), HH: 9.5% (2/21), p = 0.191) and over-correction rates (NH: 6.8% (4/59), HH: 19.1% (4/21), p = 0.138)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NH and HH groups. A tendency towards a larger dose-response relationship was observed with HH (NH: 3.9 PD/mm, HH: 4.3 PD/mm) at the 3-month postoperative follow-up, but was not significant (p = 0.105). At the 3-year postoperative follow-up, exodrift was in progress and the dose-response relationship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H group than NH group (NH: 3.9 PD/mm, HH: 4.9 PD/mm, p = 0.010). A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with amblyopia was observed (NH: 8.5% (5/59), HH: 23.8% (5/21), p = 0.146), although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s: The surgical success rate of infantile esotropia was not statistically associated with the amount of hyperopia. There was no statistical association between the dose-response relationship and amount of hyperopia at the postoperative 3-month follow-up, but a statistical association was found in the high dose-response relationship in the HH group at the postoperative 3-year follow-up. Therefore, the conventional amount of recession or muscle resection should be modified in high hyperopic (≥ +3.0 D) infantile esotropia, and long-term postoperative follow-up is necessary.
J Korean Ophthalmol Soc 2016;57(11):1752-1758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양한 단면 두께의 얼굴 전산화단층촬영 사진을 이용하여 측정한 안와용적 비교
- 분지망막정맥폐쇄에 동반된 불응성 황반부종에서 유리체내 트리암시놀론 주사의 단기 치료 효과
- 신생혈관성 연령관련 황반변성 환자에서 애플리버셉트치료군과 라니비주맙치료군 간의 치료 효과 비교
- 양안 복시로 나타난 도르래신경초종 1예
- 다양한 각막질환에서 미니공막콘택트렌즈의 임상결과
- 다래끼제거술 중 리도카인 국소마취제 주입으로 인해 생긴 데스메막분리 1예
- 타목시펜 복용 후 발생한 양안 망막분지정맥폐쇄 1예
- 안와에 발생한 피부섬유육종 1예
- 허혈시신경병증으로 의심한 환자에서 발견된 안장 위 수막종 1예
- 외상시신경병증의 임상양상과 예후
-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성요오드치료 후 발생한 눈물길 폐쇄에서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의 시행성적 비교
- 항상 유아외사시와 간헐 유아외사시 환자에서 감각 및 운동 기능의 비교
- 특발성 망막앞막, 황반원공에서 유리체 절제술 후 주입한 가스 종류에 따른 백내장 진행
- 심방중격결손폐쇄술 후 발생한 시각 조짐을 동반한 편두통 1예
- 전신홍반성 루프스와 동반된 맥락망막병증 및 이차성 급성 폐쇄각 발작 1예
- 경도 비증식당뇨망막병증에서 빛간섭단층혈관촬영술을 이용한 황반부 미세혈관의 초기변화
- 결막에 발생한 원발거대세포종 1예
- 원인이 불분명한 시력저하로 의뢰된 환아의 분석
- 영아내사시의 술 전 원시값에 따른 수술결과 분석
- 페닐에프린검사 양성인 한눈 눈꺼풀처짐의 임상적 특징
- 동종 조혈모세포이식 후 눈물막과 안구표면의 초기 변화
- 축외 역형성 뇌수막종의 직접 안와 침범 1예
- 진행성 원추각막 및 굴절수술 후 각막확장증 환자의 각막콜라겐 가속교차결합술 시행 후 임상결과
- 결막 표면에 융기된 흑색세포종양의 임상양상
- 전신 및 면역질환자에서 백내장수술 후 Paecilomyces lilacinus 각막염 1예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