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래끼제거술 중 리도카인 국소마취제 주입으로 인해 생긴 데스메막분리 1예
이용수 13
- 영문명
- A Case of Descemet’s Membrane Detachment during Lidocaine Injection for Hordeolum Incision and Drainage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보람(Bo ram Kim) 박시윤(Si Yoon Park) 이형근(Hyung Keun Lee) 서경률(Kyoung Yul Seo) 김응권(Eung Kweon Kim) 김태임(Tae-im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7,number11, 1790~1794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다래끼 수술 도중 리도카인 국소마취제 주입 시 의도치 않게 발생한 각막 천차로 인해 생긴 데스메막분리 및 각막 부종에 대해 전방 내 14% C3F8 가스 및 공기 주입술 시행으로 데스메막분리가 유착된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8세 여자 환아에서 다래끼제거술을 위한 국소마취를 위해 상안검에 리도카인 주사를 주입하던 중 강한 통증과 급격한 시력 저하를 호소하여 술기를 중단하고 본원으로 전원되었다. 세극등 소견상 각막의 찰과상 및 전반적인 각막의 부종으로 인해 각막의 세부구조가 잘 관찰되지 않았으나 각막단층촬영 검사상 데스메막분리가 관찰되었다. 초진 후 3일째 각막 상피는 완전히 재생되었으나 이후 3주까지 데스메막의 박리가 계속되어 다시 시행한 각막단층촬영 검사상 일부 데스메막 파열이 관찰되어 적극적인 치료를 위해 전방내 가스 및 공기 주입술을 시행하였다. 48시간 만에 데스메막 파열이 발생하였던 부분이 말려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체적인 유착을 얻었으며 이후 약 3개월간 경과관찰 후 안정적인 각막소견과 정상시력을 회복하였다.
결론: 안검의 마취주사 중 예상치 못한 각막천자로 발생한 데스메막분리 및 파열은 각막부종으로 인한 시력저하를 초래하였고 일반적인 데스메막분리와 달리 시간의 경과에 따른 회복을 가져오지 못했다. 이에 적극적인 치료방법으로 선택한 전방내 14% C3F8 가스주입술 및 공기주입술을 통해 데스메막분리가 유착되었으며, 정상 시력을 회복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한안과학회지 2016;57(11):1790-1794>
영문 초록
Purpose: To report a case of Descemet’s membrane detachment and corneal edema caused by an iatrogenic corneal perforation created while performing a local anesthetic (lidocaine) injection into the eyelid for a hordeolum incision and a drainage procedure. The detachment resolved after 14% C3F8 gas and air injections into the anterior chamber.
Case summary: An 8-year-old female visited our clinic after the onset of severe pain and decreased visual acuity while receiving a local anesthetic injection into the upper eyelid in preparation for a hordeolum incision and drainage procedure. Corneal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showed Descemet’s membrane detachment. Three days after the first visit, the corneal epithelium had entirely healed. However, Descemet’s membrane detachment persisted even after three weeks of follow-up. A corneal OCT was repeated after three weeks and showed a partial Descemet’s membrane rupture. A more aggressive treatment method was deemed necessary, and gas and air injections into the anterior chamber were performed. After 48 hours, aside from some Descemet’s membrane rolling at the site of rupture, overall reattachment of Descemet’s membrane was noted. After three months of follow-up, the patient showed a stable corneal state and normalized vision.
Conclusions: Descemet’s membrane detachment and rupture resulting from an iatrogenic corneal perforation during an injection of lidocaine to the eyelid led to decreased visual acuity from corneal edema. As a more aggressive treatment method, 14 % C3F8 gas and air injections into the anterior chamber were performed and resulted in near complete reattachment of Descemet’s membrane’s and normalization of the patient’s visual acuity.
J Korean Ophthalmol Soc 2016;57(11):1790-1794
목차
증례보고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양한 단면 두께의 얼굴 전산화단층촬영 사진을 이용하여 측정한 안와용적 비교
- 분지망막정맥폐쇄에 동반된 불응성 황반부종에서 유리체내 트리암시놀론 주사의 단기 치료 효과
- 신생혈관성 연령관련 황반변성 환자에서 애플리버셉트치료군과 라니비주맙치료군 간의 치료 효과 비교
- 양안 복시로 나타난 도르래신경초종 1예
- 다양한 각막질환에서 미니공막콘택트렌즈의 임상결과
- 다래끼제거술 중 리도카인 국소마취제 주입으로 인해 생긴 데스메막분리 1예
- 타목시펜 복용 후 발생한 양안 망막분지정맥폐쇄 1예
- 안와에 발생한 피부섬유육종 1예
- 허혈시신경병증으로 의심한 환자에서 발견된 안장 위 수막종 1예
- 외상시신경병증의 임상양상과 예후
-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성요오드치료 후 발생한 눈물길 폐쇄에서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의 시행성적 비교
- 항상 유아외사시와 간헐 유아외사시 환자에서 감각 및 운동 기능의 비교
- 특발성 망막앞막, 황반원공에서 유리체 절제술 후 주입한 가스 종류에 따른 백내장 진행
- 심방중격결손폐쇄술 후 발생한 시각 조짐을 동반한 편두통 1예
- 전신홍반성 루프스와 동반된 맥락망막병증 및 이차성 급성 폐쇄각 발작 1예
- 경도 비증식당뇨망막병증에서 빛간섭단층혈관촬영술을 이용한 황반부 미세혈관의 초기변화
- 결막에 발생한 원발거대세포종 1예
- 원인이 불분명한 시력저하로 의뢰된 환아의 분석
- 영아내사시의 술 전 원시값에 따른 수술결과 분석
- 페닐에프린검사 양성인 한눈 눈꺼풀처짐의 임상적 특징
- 동종 조혈모세포이식 후 눈물막과 안구표면의 초기 변화
- 축외 역형성 뇌수막종의 직접 안와 침범 1예
- 진행성 원추각막 및 굴절수술 후 각막확장증 환자의 각막콜라겐 가속교차결합술 시행 후 임상결과
- 결막 표면에 융기된 흑색세포종양의 임상양상
- 전신 및 면역질환자에서 백내장수술 후 Paecilomyces lilacinus 각막염 1예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정신건강 중재에 대한 연구 동향: 계량서지학적 분석
-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부모 매개 중재(Parent-mediated intevention)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