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결막 표면에 융기된 흑색세포종양의 임상양상
이용수 2
- 영문명
- Clinical Manifestations of Extruded Conjunctival Melanocytic Mass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장수경(Su Gyeong Jang) 박병건(Byung Gun Park) 박영민(Young Min Park) 이종수(Jong Soo Lee)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7,number11, 1691~1698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결막 표면에 융기된 흑색세포 종양의 임상양상 및 특징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세극등 현미경 검사에서 결막 표면의 융기된 흑색세포종양으로, 절제 생검을 시행 받은 환자 33명(남자 16명, 여자 17명), 33안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의 종양이 최종진단까지 걸리는 기간은 10년 이내가 76%였으며, 10년 이상은 24%로 15년에서 50년까지 다양하였다. 절제생검결과는 복합모반이 13안(40%), 상피하모반이 9안(27%), 이형성이 동반되지 않은 원발성 후천성 흑색증 8안(24%), 그리고 악성흑색종이 3안(9%)이었다. 복합모반은 각막 이측에 위치한 경우가 54%, 구결막에 위치한 경우가 77%로 가장 많았고 61%가 갈색의 색소성 변화를 보였다. 병변의 평균 직경은 24 mm로, 멜라닌 모반세포가 결막 상피 및 상피하 기칠층에 복합적으로 존재하였다. 상피하모반은 각막 이측(56%), 구결막에 위치(78%)한 경우가 많았고 78%에서 갈색을 띠었다. 이 병변의 평균직경은 28 mm였고, 멜라닌모반세포가 상피하 기질층에서만 관찰되면서 nest shape을 형성하였다. 이형성이 동반되지 않은 원발성 후천성 흑색종은 각막 비측(62.5%), 구결막에 위치(75%)하는 경우가 많았고 갈색의 색소성 변화를 보이는 경우(75%)가 가장 많았다. 평균직경은 30 mm, 조직학적으로 멜라닌 모반세포가 상피층 바닥막에 국한되어 있었다. 악성 흑색종은 3안으로 모두 각막 상측의 검결막에 위치하였고, 검은색소성 변화가 있으면서, 평균 직경이 53 mm로 조직소견상 암세포가 결막 및 결체조직의 전층에 분포하였다.
결론: 결막 표면의 흑색세포종양이 검결막에 위치하면서 병변의 범위가 넓고 표면으로 융기되는 검은색의 색소침착을 보이는 경우악성흑색종으로 의심되기에 조기에 생검 및 적극적인 절제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대한안과학회지 2016;57(11):1691-1698>
영문 초록
Purpose: To investigate the clinical manifest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extruded conjunctival melanocytic mass.
Methods: A total of 33 patients who had extruded conjunctival melanocytic mass and who underwent excisional biopsy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Results: Based on the excisional biopsy results, 13 patients (40%) were diagnosed with compound nevus, nine patients (27%) with subepithelial nevus, eight patients (24%) with primary acquired melanosis without atypia, and three patients (9%) with malignant melanoma. Compound nevus was located on the temporal side of the cornea in 54% of affected cases, bulbar conjunctival in 77%, and was partially pigmented (brown) in 61%. The average size of the melanocytic mass was 24 mm when histological analysis showed melanin nevus cells in the conjunctival epithelial layer and subepithelial stromal layer. Subepithelial nevus was located on the temporal side of the cornea (56%) and in the bulbar conjunctival (78%) and had a brown color (78%). The average size of the melanocytic mass was 28 mm when histological analysis showed melanin nevus cells located only in the subepithelial stromal layer and forming nest shapes. Primary acquired melanosis without atypia was located on the temporal side of the cornea (62.5%) and bulbar conjunctival (75%) and had brown color (75%). The average size of melanin nevus cells
located only in the basement membrane of the epithelial layer was 30 mm. Three of these masses were malignant melanoma, and all cases were located on the superior side of the cornea and palpebral conjunctiva. All cases were black and had an average size of 53 mm, with malignant cells observed in all layers of the conjunctiva and connective tissue.
Conclusions: A conjunctival melanocytic mass located on the palpebral conjunctiva, extruding onto the surface, and large in size should be suspected as malignant melanoma. In such cases, early biopsy and aggressive resection are required.
J Korean Ophthalmol Soc 2016;57(11):1691-1698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양한 단면 두께의 얼굴 전산화단층촬영 사진을 이용하여 측정한 안와용적 비교
- 분지망막정맥폐쇄에 동반된 불응성 황반부종에서 유리체내 트리암시놀론 주사의 단기 치료 효과
- 신생혈관성 연령관련 황반변성 환자에서 애플리버셉트치료군과 라니비주맙치료군 간의 치료 효과 비교
- 양안 복시로 나타난 도르래신경초종 1예
- 다양한 각막질환에서 미니공막콘택트렌즈의 임상결과
- 다래끼제거술 중 리도카인 국소마취제 주입으로 인해 생긴 데스메막분리 1예
- 타목시펜 복용 후 발생한 양안 망막분지정맥폐쇄 1예
- 안와에 발생한 피부섬유육종 1예
- 허혈시신경병증으로 의심한 환자에서 발견된 안장 위 수막종 1예
- 외상시신경병증의 임상양상과 예후
-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성요오드치료 후 발생한 눈물길 폐쇄에서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의 시행성적 비교
- 항상 유아외사시와 간헐 유아외사시 환자에서 감각 및 운동 기능의 비교
- 특발성 망막앞막, 황반원공에서 유리체 절제술 후 주입한 가스 종류에 따른 백내장 진행
- 심방중격결손폐쇄술 후 발생한 시각 조짐을 동반한 편두통 1예
- 전신홍반성 루프스와 동반된 맥락망막병증 및 이차성 급성 폐쇄각 발작 1예
- 경도 비증식당뇨망막병증에서 빛간섭단층혈관촬영술을 이용한 황반부 미세혈관의 초기변화
- 결막에 발생한 원발거대세포종 1예
- 원인이 불분명한 시력저하로 의뢰된 환아의 분석
- 영아내사시의 술 전 원시값에 따른 수술결과 분석
- 페닐에프린검사 양성인 한눈 눈꺼풀처짐의 임상적 특징
- 동종 조혈모세포이식 후 눈물막과 안구표면의 초기 변화
- 축외 역형성 뇌수막종의 직접 안와 침범 1예
- 진행성 원추각막 및 굴절수술 후 각막확장증 환자의 각막콜라겐 가속교차결합술 시행 후 임상결과
- 결막 표면에 융기된 흑색세포종양의 임상양상
- 전신 및 면역질환자에서 백내장수술 후 Paecilomyces lilacinus 각막염 1예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