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모-자녀간 게임에 대한 인식차이 및 게임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들에 대한 연구
이용수 191
- 영문명
- A Study on Difference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n Evaluating Effects of Electronic Games, and Relevant Predictors of Conflict Around Children’S Game Use.
- 발행기관
-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 저자명
- 유홍식(Hong Sik Yu)
- 간행물 정보
-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제3권 제1호, 1~2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4.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5~6학년) 어린이와 부모(어머니)를 대상으로 게임에 대한 인식차이, 자녀에게 미치는 부정적 영향, 게임이용과정에서 공격적 행위 경험정도, 게임으로 인한 부모-자녀간 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자료 수집은 2007년 11월 서울지역에서 이루어졌으며, 서베이 조사방식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게임에 대한 부모와 자녀간 인식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들이 자녀들보다 게임이용량과 주이용게임의 폭력적 내용이 많은 것으로 평가하며, 게임을 유익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어머니들은 게임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들 중에서 학업성적에 가장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게임이용량이 많은 어린이들이, 폭력적 내용이 많은 게임을 하는 어린이들이 게임이용과정에서 부정적 경험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임이용과정에서 어린이의 공격행위 경험은 자녀?친구간 싸움정도, 게임이용량, 게임의 균형이용, 주이용 게임의 폭력성 등에 대한 어머니의 평가, 부모로부터의 꾸중, 주이용게임의 폭력성, 게임이용량 등과 같은 어린이의 평가와 일정 정도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게임으로 인한 부모-자녀간 갈등은 자녀의 불균형적 게임이용, 과도한 게임이용량, 주이용게임의 폭력성, 자녀의 공격성에 부정적 영향, 학교?학원 숙제 차질 정도에 의해 설명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differences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ren in the evaluation of utilization and effects of electronic games. The study also examined conflicts that could be occurred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ren because of the games, and potential predictors of the conflicts. A total of 210 5th and 6th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s and their 210 mothers were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ults showed that, compared to children, mothers evaluated that games were not beneficial to children and contained lots of violent content. Mothers concerned the potential negative effects of games on school performance among other variables.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he children who highly utilized games, and enjoyed violent games more experienced negative behaviors during game-playing.
In addition, children s experiences of aggressive behaviors during game-playing moderately correlated with fighting with friends/ brothers/sisters (mothers evaluation), unbalanced game-playing (mothers evaluation), the amount of game utilization (mothers and children s evaluations), the degree of violence of favorite games (mothers and children s evaluations). Conflicts between children and mothers due to game-playing could be predicted by unbalanced and excessive game-playing, the degree of violence of favorite games, and potential harmful effects on children and school performances.
목차
국문초록
1. 문제제기
2. 선행연구 고찰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한계점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현대카드 디자인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 18대 국회의원 총선거에 나타난 선거보도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 보컬 디렉터의 역할과 방법에 관한 연구
- IPv6주소체계 기반의 유비쿼터스 구현
- 화면분할의 텍스트 구조와 시각효과
- 조류 탐사 과학관의 설계에 관한 연구
- 지상파 방송의 공적 책무 : KBS, MBC, SBS를 중심으로
- 리프팅 및 듀얼 리프팅을 이용한 웨이블릿 변환의 해석에 관한 연구
- 대학생의 술자리 문화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고찰
- 부모-자녀간 게임에 대한 인식차이 및 게임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들에 대한 연구
- 포털사이트뉴스 이용행태 연구
- 독일 문자다중방송(Teletext) 서비스 특성에 관한 연구
- 일본의 도시재생과 지역재생에 관한 사례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