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현대카드 디자인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이용수 477
- 영문명
- Hyundai Card Design Brand Identity
- 발행기관
-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 저자명
- 이영주(Young Ju Lee)
- 간행물 정보
-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제3권 제1호, 1~1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4.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01년 10월 다이너스 카드 코리아를 인수하면서 후발 주자로 신용카드 업계에 진출한 현대 카드는 상품 대금 결제라는 신용카드 본연의 기능 이외에 디자인과 형태의 차별성으로 신용카드라는 상품의 경쟁력을 디자인의 도입을 통해 큰 성공을 거둔 바 있다. 이러한 현대 카드의 디자인 요소의 성공으로 인해 타 카드사도 현대카드를 벤치마킹하여 디자인을 도입한 신용 카드를 출시하였으나 현대 카드와 같은 효과는 누리지는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대카드 디자인의 브랜드 별 아이덴티티를 분석하여 디자인의 성공 요소를 살펴보고 차별화 된 디자인이 상품의 경쟁력으로 이어진다는 상호 관계를 분석해 보았다.
영문 초록
On Oct of 2001, Hyundai Card which got into the credit card business late with its acquisition of Diners Card had a big success with competitive credit card product as the distinction of design and shape was introduced in card design not only was with the credit card proper ability of the payment for goods.
As result of success of Hyundai card design facts, other credit card companies released the designed credit card through benchmark of Hyundai card but it was not effective as much as Hyundai card.
Therefor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uccess facts of design through analysis of the identity of Hyundai brands design and the mutual relation, the distinction of design makes a product rivalry, is analyzed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현대 카드의 디자인 도입
3. 카드별 브랜드 아이덴티티
4. 성공 요인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현대카드 디자인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 18대 국회의원 총선거에 나타난 선거보도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 보컬 디렉터의 역할과 방법에 관한 연구
- IPv6주소체계 기반의 유비쿼터스 구현
- 화면분할의 텍스트 구조와 시각효과
- 조류 탐사 과학관의 설계에 관한 연구
- 지상파 방송의 공적 책무 : KBS, MBC, SBS를 중심으로
- 리프팅 및 듀얼 리프팅을 이용한 웨이블릿 변환의 해석에 관한 연구
- 대학생의 술자리 문화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고찰
- 부모-자녀간 게임에 대한 인식차이 및 게임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들에 대한 연구
- 포털사이트뉴스 이용행태 연구
- 독일 문자다중방송(Teletext) 서비스 특성에 관한 연구
- 일본의 도시재생과 지역재생에 관한 사례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