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용자 주도 매쉬업 콘텐츠에 대한 연구
이용수 72
- 영문명
- The Study on User Driven Mashup Contents Focusing on User Innovation and Audience Perception
- 발행기관
-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 저자명
- 민병현(Min, Byung Hyun) 김미경(Kim, Mi Kyung) 이민규(Lee, Min Kyu)
- 간행물 정보
-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제8권 3호, 1~2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연구는 변형되거나 재창조된 콘텐츠인 매쉬업 콘텐츠를 중심으로 제작자의 수용자 능동성 혹은 개혁성을 탐색하고 수용자 인식을 조사하고 확산 과정을 점검하고자 하였다. 검토결과 매쉬업 콘텐츠 제작자는 주도적으로 콘텐츠를 선택하고 ,
필요에 따라 유용하며 , 적극적으로 공유하고 선호하는 콘텐츠를 완고하게 받아들이고 있었다. 또한 이들은 개혁적인 성향으로 주도적으로 콘텐츠를 만드는 실천적 활동을하고 있었다. 매쉬업 콘텐츠에 대한 수용자 인식을 살펴보면 , 기술적 매쉬업 수준은 대체로 높다고 생각하였으며 편집 이음새 , 영상 결합의 통일성 , 원본 영상의 보전에서 품질이 좋았다고 평가하였다 . 스토리 매쉬업 부분에서 영상 발췌, 캐릭터 선정, 스토리구조 부분에서 좋은 평가를 하였고 재미의 부분에서는 몰입도가 높고 편집 기술에 호기심이 생겼다고 답하였다 . 마지막으로 영상 매쉬업 수준에서는 스토리 전개를 결정짓는 요소가 내용 그 자체도 있지만, 영상의 배경이나 색감, 배경음악 등이 스토리의 전개의 연결성을 보완한다고 답변하였다 . 또한, 영상콘텐츠의 확산 방법은 ‘직접 업로드 ’,‘구독하기 ’,‘좋아요 ’,‘공유’‘포스팅 등으로 나타났다 . 이러한 결과의 함의를 살펴보면 , 매
쉬업 콘텐츠는 이용자 주도적 편집 교육의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자기 주도적 확산은 콘텐츠 유통의 전략 방안으로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search the active and innovative traits of audience, the perception on the user driven mash up content and the diffusion situation focusing on the modified and recreative contents(mashup contents). As the result of
research, we have found that the creators of mashup contents are definitely picking the favorite samples according to their need and perceived usefulness, and they positively share their favorite contents, accept it obstinately and have an innovative and active trait. In addition, in the aspect of audience perception after viewing of mashup video, respondents evaluate that technological mashup level is generally high such as the rated as good character, storytelling and footage. Also, respondents suggest that this mashup contents is immersed in fun and holds
respondent’s interest of editing technology. Finally, respondents answer that the color, music and location help to understand story easily. The diffusion of mashup contents is described as uploading, subscribing, ‘like’ button and posting. In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mashup contents make use of visual editing education
and the tool for contents diffusion for network value and global distribution of content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찰공무원 직무스트레스관리지원을 위한 영화치료 프로그램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변화 효과
- 미주지역에서 강남스타일의 수용과 확산에 관한 탐색적 연구:
- IPTV 품질측정 소프트웨어의 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 광고회의주의 수준과 제품 관여도 및 성별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효과
- 유방암 예방행위 캠페인을 위한 수용자 연구:
- 문화예술교육사 양성에 관한 교육학적 고찰
- 창작뮤지컬에 대한 선택속성이 관람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 지면 비교와 초점집단 심층면접을 통한 어린이신문의 문제점 분석 및 활성화방안 연구
- 부산지역 대학생들의 프로야구 관람의도 결정요인 연구 :
- 이용자 주도 매쉬업 콘텐츠에 대한 연구
- 기자의 성별에 따른 지상파 방송뉴스 보도유형의 차이:
- 리게티와 펜데레츠키의 음색 기보법 비교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