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방암 예방행위 캠페인을 위한 수용자 연구:
이용수 197
- 영문명
- A Study on University Women s Prevention Behaviors against Breast Cancer: Focused on Health Belie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 발행기관
-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 저자명
- 전승호(Jeon, Seung Ho)
- 간행물 정보
-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제8권 3호, 1~2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연구는 여대생들의 유방암 검진의도를 높이기 위한 심리적 결정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 이를 위해 건강신념모델을 구성하는 4개의 신념변인들 (지각된 이익성, 지각된 민감성,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장애성 )이 유방암 검진의도에 미
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 첫째, 지각된 이익성은 유방암 검진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예측변인으로 확인되었으나 , 지각된 민감성과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장애성은 유방암 검진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 둘째, 사회적 지지를 구성하는 변인들(친구지지 , 가족지지 , 타인지지 )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 그결과, 친구지지는 자기효능감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 가족지지와 타인지지도 자기효능감을 높이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 셋째, 유방암검진과 관련 자기효능감이 유방암 검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자기효능감은 유방암 검진의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determinants of Korean university women s intention to screen for breast cancer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HBM),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First of all,
perceived benefit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intention to screen for breast cancer. But perceived susceptibility, perceived severity and perceived barriers had not influence significantly on intention to screen for breast cancer. Second, social support(friend support, family support and other suppor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elf-efficacy. Third, self-efficac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intention to screen for breast cancer.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찰공무원 직무스트레스관리지원을 위한 영화치료 프로그램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변화 효과
- 미주지역에서 강남스타일의 수용과 확산에 관한 탐색적 연구:
- IPTV 품질측정 소프트웨어의 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 광고회의주의 수준과 제품 관여도 및 성별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효과
- 유방암 예방행위 캠페인을 위한 수용자 연구:
- 문화예술교육사 양성에 관한 교육학적 고찰
- 창작뮤지컬에 대한 선택속성이 관람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 지면 비교와 초점집단 심층면접을 통한 어린이신문의 문제점 분석 및 활성화방안 연구
- 부산지역 대학생들의 프로야구 관람의도 결정요인 연구 :
- 이용자 주도 매쉬업 콘텐츠에 대한 연구
- 기자의 성별에 따른 지상파 방송뉴스 보도유형의 차이:
- 리게티와 펜데레츠키의 음색 기보법 비교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