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용자가 인식하는 국내 드라마의 스토리텔링 방식이 드라마 만족도와 지상파 채널 브랜드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41
- 영문명
- Perceived Storytelling of TV Shows and Its Impacts on Audience Satisfaction and Channel Brands
- 발행기관
-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 저자명
- 전종우(Jun, Jong Woo)
- 간행물 정보
-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제9권 3호, 1~2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시청자의 입장에서 국내 지상파 채널에서 방영되는 드라마의 주제와 스토리의 유형을 알아보고 스토리 유형과 스토리텔링 방식이 지상파 드라마의 만족도와 지상파채널 브랜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한 것이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수용자들이 선호하는 스토리 유형은 사랑, 전통문화, 자극, 파격(막장), 성공, 영웅/신화의 6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이 중 국내 지상파 드라마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형은 사랑, 파격, 전통문화로 나타났다. 스토리텔링 방식 중에는 높은 완성도, 소재의 신선함, 배우의 연기, 배경 음악이 드라마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스토리 유형들과 스토리텔링 방식은 채널별 차이는 있지만 지상파의 채널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지상파 채널에 대한 태도 각각에 영향을 미치는 스토리 유형으로는 MBC의 경우 자극, KBS와 SBS의 경우 공통적으로 파격이라는 스토리 유형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토리텔링 방식 중에는 MBC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발견되지 않았고 KBS에는 높은 완성도, SBS에는 스토리의 표현력과 소재의 신선함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드라마 제작에 있어 스토리텔링 전략과 방송사의 채널브랜드 관리 차원에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storytelling elements of Korean TV shows, and explores the impacts of story dimensions and storytelling on audiences’satisfaction and attitudes toward Korean network TV channels. It is found that story dimensions are love, traditional culture, stimulating, unconvention, success, and hero/myth. Among these story dimensions, love, unconvention, and traditional culture were positively related to satisfaction of TV shows. As storytelling, completion, story novelty, acting, and background music influenced satisfaction of TV shows. In addition, it is also found that stimulating influenced attitudes toward MBC, and unconvention affected both attitudes toward KBS and SBS. Among storytelling ways, completion influenced attitudes toward KBS, and story expression and novelty affected attitudes toward SBS. These results could provide academic and managerial implications regarding TV show storytelling and its additional effects on channel brand management.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Management Strategies for Broadway Musicals in Asian-Pacific Marketplaces
- 사진치료 프로그램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수용자의 인지욕구에 따른 (비)하이테크 제품에 대한 설득효과:
- 텔레비전 뉴스의 모자이크 영상에 대한 비판적 연구
- 해외수출영화의 위치화 연구
- 국내 일간지 정정보도와 사과문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온라인 커뮤니티는 토론 난제(難題)에서도 대안적인가?:
- 수용자가 인식하는 국내 드라마의 스토리텔링 방식이 드라마 만족도와 지상파 채널 브랜드에 미치는 영향
- 참여예술로서 커뮤니티 아트에 대한 연구
- TV 뉴스의 선정성이 정서, 기억, 뉴스 평가 및 갈등 지각에 미치는 영향
- ‘별에서 온 그대’ 드라마 간접 광고 서사 구조에 대한 연구
- 여성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동기와 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 시사 잡지의 국제뉴스 다양성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