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일간지 정정보도와 사과문의 특성에 관한 연구:
이용수 240
- 영문명
- Analysis of Corrections and Apologies in Newspapers: between Conservative and Liberal Media
- 발행기관
-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 저자명
- 함성원(Hahm, Sungwon) 서상호(Seo, Sangho)
- 간행물 정보
-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제9권 3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연구는 한국 신문사들의 정정보도의 형태를 분석하고 현실적인 대안을 촉구하려는 취지에서 2008년부터 2012년 동안(이명박 정권)까지 5년여 동안 논조에 따라 보수신문과 진보신문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정정보도를 제일 많이 싣고 있는 신문은『조선일보』,『동아일보』,『한겨레신문』,『경향신문』순이었다. 사과문의 게재빈도는 총 25회로 보수신문(11회)와 진보신문(14회)이었다. 신문사의 기사작성으로 인해 발생한 오보에 대한 사과문을 게재한 빈도는 경향신문(4회, 80%). 한겨레 오보(2회,22.2%), 조선일보 오보(3회, 60%), 동아일보(3회, 66.7%)이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correction reports in Korean newspapers, both conservative newspapers and progressive newspapers, from 2008 to 2012 to urge a realistic alternative.
Newspapers with the most correction reports were in the order of “Chosun Ilbo”, “ DongA Ilbo”, “Hankyoreh Shinmoon” and “Kyunghyang Shinmoon”. 25 statements of apology for misreport were made by conservative newspapers (11) and progressive newspapers (14).
The number of statements of apology for misreport was in the case of Kyunghyang Shinmoon(4 times, 80%), Hankyoreh(twice, 22.2%), Chosun Ilbo(3 times, 60%), Dong-A Ilbo (3 times, 66.7%).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Management Strategies for Broadway Musicals in Asian-Pacific Marketplaces
- 사진치료 프로그램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수용자의 인지욕구에 따른 (비)하이테크 제품에 대한 설득효과:
- 텔레비전 뉴스의 모자이크 영상에 대한 비판적 연구
- 해외수출영화의 위치화 연구
- 국내 일간지 정정보도와 사과문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온라인 커뮤니티는 토론 난제(難題)에서도 대안적인가?:
- 수용자가 인식하는 국내 드라마의 스토리텔링 방식이 드라마 만족도와 지상파 채널 브랜드에 미치는 영향
- 참여예술로서 커뮤니티 아트에 대한 연구
- TV 뉴스의 선정성이 정서, 기억, 뉴스 평가 및 갈등 지각에 미치는 영향
- ‘별에서 온 그대’ 드라마 간접 광고 서사 구조에 대한 연구
- 여성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동기와 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 시사 잡지의 국제뉴스 다양성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