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양성영화의 관람동기:
이용수 353
- 영문명
- Usage Motivations of Diversity Films : comparing with commercial films
- 발행기관
-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 저자명
- 백지혜(Baek, Ji Hye) 남상현(Nam, Sang Hyun) 장병희(Chang, Byeng Hee)
- 간행물 정보
-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제9권 2호, 1~2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수용자들이 다양성영화를 이용하는 동기가 무엇인지를 이용과 충족 이론을 적용하여 탐색하고 다양성영화의 지속관람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내용과 추구가치의 차이로 인해 다양성영화와 상업영화에 대한 수용자들의 관람동기 유형과 영향력도 다를 것이라는 논리 하에 두 영화의 관람동기의 유형과 지속관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다양성영화와 상업영화 모두에 대해 유사한 문항과 설명력 수준으로 구성된 총 5개의 관람동기들을(지식추구, 영화학습, 기분전환, 감상지향, 사회규범추구) 추출하였다. 그러나 각 영화 유형에 따라 지속관람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관람동기의 유형 및 영향력 측면에서는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다양성영화의 경우에는 지식추구, 감상지향, 기분전환 요인의 순서로 유의미한 반면, 상업영화의 경우에는 기분전환, 감상지향, 사회규범 추구 요인의 순서로 유의미하였다.
영문 초록
Using the uses and gratification theory, the present study explores usage motivations of diversity films and examines the influence of the usage motivations on the continuous viewing intention toward diversity films. We assume that motivation types and their effects would be different between diversity and commercial films because of their
different contents and the pursued values. In the results, a total of five usage motivations(knowledge-seeking, film-learning, leisure, appreciation-oriented, pursuing social norm) are extracted for both diversity and commercial films with the similar level of variance and measurement items. However, there are distinct differences in the order of
the significance of the usage motivations between diversity and commercial films. While the effects of knowledge seeking, appreciation-oriented and leisure on the continuous viewing intention of diversity film a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order, the effects of leisure, appreciation-oriented and pursuing social norm on the continuous viewing
intention of commercial film a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order.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3. 연구문제
4. 연구결과
5.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