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연중심 연극치료의 양상과 치료적 특성
이용수 345
- 영문명
- A Study on the Perspectives and Benefits of the Therapeutic Theatre
- 발행기관
-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 저자명
- 김숙현(Kim, Sook Hyun)
- 간행물 정보
-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제9권 2호, 1~2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 극치료(drama therapy)는 크게 과정지향(process-oriented)의 연극치료와, 연극제작과 그 생산물에 무게 중심을 둔 공연중심의 연극치료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과정지향의 여러 연극치료이론과 그 실제에 대한 소개와 실천에 비해 공연 지향의 ‘치료적 연극(therapeutic theatre)’, 혹은 ‘치료적 공연’에 대한 이론적인 정립은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에 본 연구는 ‘치료적 연극’의 양상과 개념적 정의 그리고 그에 따른 영역적 특성에서부터 출발하여, 공연중심의 연극치료를 대표하는 연극치료사 스테판 스노우와 르네 에무나를 중심으로 공연지향 연극치료가 지닌 치료적 가치의 특이성과, 이를 발현하는 방법론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무엇보다 스노우와 에무나의 치료적 공연에 대한 공통된 사상과, 그들 각각의 치료적 연극
을 대변하는 ‘수행적 연극치료 모델’과 ‘자기-현시적 연극’을 통해 그들 간 방법론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봄으로써, 종국에는 치료적 연극이 왜/어떻게 치료적이라 할 수 있는지 이해할수 있었다. ‘연극’ 본유의 치유적 속성을 발판삼아 출현한 다수의 특수/장애인 극단들의 연극생산이 본격화되고 있고, ‘치유’ ‘치료’라는 용어가 공연제목에 유행처럼 덧붙여지는 있는 현 시
점에 있어서 ‘치료적 연극’의 궁극적 목표와 그 특성 및 효과에 관한 본 연구는 치‘ 료적’ 공연 모색의 지표가 되어줄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k about the performance-oriented drama therapy, the therapeutic theatre, to consider why/how it has a therapeutic effect. This article proposes the definition of the therapeutic theatre and its therapeutic characteristics and values, based on the therapeutic theatre of two prominent dramatherapist, Stephen Snow and Renée Emunah. At first Stephen Snow established ‘the performative drama therapy model’. And also Renée Emunah named her therapeutic theatre ‘the self-revelatory theatre’. This study finds that the most important common aspect of these two methods is the utilization of improvisational techniques, however the most important difference is that they present their performances from the fictional play or non-fictional play.
Despite this difference, they all emphasis on the effects of public performance in the therapeutic theatre, which could help the self-images of clients who are excluded to be improved. They insist the therapeutic impact of performance could be even more efficacious than process-oriented drama therapy . They emphasize that aesthetics and
therapy are intertwined and the aesthetic success of performance is very important as well. And this paper also finds that the root of the therapeutic theatre is based on Grotowsky’s ritual theatre.
목차
1. 들어가며
2. 공연중심 연극치료의 양상과 정의
3. 치료적 연극의 방법론적 특성과 치료적 가치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