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Nondisabled People Talk About Disability and Disabled People
이용수 68
- 영문명
- 발행기관
-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 저자명
- Woo, Chung Wan(우충완)
- 간행물 정보
-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제10권 1호, 247~280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영화 <오아시스>(2002)와 <말아톤>(2005)에 나타난 장애재현과 담론을 관객수용분석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질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영화 속에서 다뤄진 장애와 장애인에 대한 관객의 인식과 수용과정을 파악하기 위해 19명의 비장애인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과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장애학적 관점에서 중요한 세 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1)복합적 현상으로서의 장애, 2)비장애 중심적 상징으로서 전유된 장애, 3)정상성에 동화·흡수된 장애. 첫째, 참여자들은 의료화된 관점과 함께 젠더화와 계층화된 시각으로 장애와 장애관련 등장인물들을 인식·수용했다. 둘째, 참여자들은 장애인의 스테레오타입화된 이미지와 상징을 차용하여, 장애인들이 아닌, 자신들의 사회적 어려움을 표현했다. 셋째, 참여자들은 영화 속에서 비장애와 남성중심적으로 묘사된 장애여성의 성과 사랑(오아시스)과 장애남성의 장애극복(말아톤)을 정상과 비장애 중심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공감을 표시했다. 참여자들의 장애인물에 대한 인식과 수용은 <오아시스>와 <말아톤>이 장애에 대한 스테레오타입 뿐만 아니라 비장애중심적인 정상성을 확대·재생산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qualitative study examines discourses and representations of disability in two highly acclaimed Korean films, Oasis(2002), directed by Changdong Lee, and Malaton(2005), directed by Yoonchul Jung, in terms of audience reception. To better comprehend such discourses and representations, nineteen graduate students watched the films in their entirety and shared their understandings of disability and disabled people in the films and social world. Using disability studies as a theoretical lens and focus groups and individual interviews as a research method tool, this study analyzes the interview data and the three following themes have emerged; 1)disability as a complex phenomenon; 2)disability appropriated as an ableist symbol; and 3)disability assimilated into normalcy. Based on the findings, several implications are provided and discussed in the conclusion.
목차
1. Introduction
2. Literature Review
3. Research Methods
4. Findings
5.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국의 문화융성정책에 내제된 문화정체성의 비판적 소고
- 뉴스통신사의 빅데이터 저널리즘 활용방안 연구
- Nondisabled People Talk About Disability and Disabled People
- 공공의 예술인가, 예술의 공공성인가?
- 3D 영화에서의 P.O.V 연구
- 인터넷 포털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영역에 대한 공중 평가가 포털 사이트 신뢰도, 선호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언론의 정파성과 국가이익
- 융합 미디어 시대 시청자미디어센터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연구1
- 영상 콘텐츠 교육의 수행평가 연구
- 한국 리얼리티 오락 프로그램의 포맷구성 요소가 중국 시청자의 시청효과에 미친 영향 연구1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