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공의 예술인가, 예술의 공공성인가?
이용수 957
- 영문명
- Conflict between Artistry and Publicnes : A Case study on various conflicts found in Korean community art projects
- 발행기관
-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 저자명
- 조숙현(Cho, Sook Hyun) 윤태진(Yoon, Tae Jin)
- 간행물 정보
-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제10권 1호, 105~13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커뮤니티 아트는 예술을 통한 행동주의 미술로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데 의의를 두고 있으며, 2000년대 이후 한국에서 정책적으로 크게 장려되었다. 그러나 커뮤니티 아트의 예술성과 공공성은 아직 논의의 쟁점으로 남아 있으며, 이는 종종 커뮤니티 아트 현장의 갈등을 초래한다. 이 연구는 8명의 한국 커뮤니티 아트 참여자와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커뮤니티 아트 현장의 갈등을 분석함으로써 한국 커뮤니티 아트의 가능성과 한계를 밝히고자 했다. 분석 결과에서 볼 수 있듯, 현장에서 주최자가 예산을 담보로 예술가에게 강압적인 명령을 내릴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되면 예술가의 자율성이 침해받으며, 커뮤니티 아트의 정신이 훼손되고, ‘오래된 장르 공공미술’이 귀환한다. 반면 예술가의 이상주의적이고 낭만주의적인 접근과 예술가의 ‘취향’에 대한 강요는 커뮤니티 구성원들에게 반발을 초래할 수 있으며, 예술가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의지가 부족한 경우 커뮤니티 아트는 예술가의 개인적 실험으로 끝난다. 한편 예술가의 커뮤니케이션 의지로 갈등을 극복한 사례는 한국 커뮤니티 아트에 가능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re have been diverse Korean community art projects. However, in spite of the good intentions of community art, the core issues in community art like artistry and publicness are still under debates, and it often causes complications at community art sites. Indeed, questions like “Is community art really art?” or “How does community art realize publicness?” often emerge in the community art site, causing various complications. Based on these issues of artistry and publicness, this reserch aims to find out the possibilities and the limits of Korean commuity art by analysing the complications that arise in Korean community art through in-depth interviews of artists who participated in community art projects. We analyzed complications at community art spots through in-depth interviews of 8 Korean community artists and curators. Analyzing the complicated relationships between the participants and the roots and effects the conflicts that arise, this research tried to understand how issues of artistry and publicness in community art relate back to these conflicts.
As shown in case studies, conflicts between policy makers and artists, caused by the policy makers’ overbearing attitude towards artists through their control of the budget, can result in “old genre public art” and interfere with the free will of the artist. As seen in other cases, however, if the artist’s approach is too idealistic toward the community they may force their artistic “taste” on the community, and this it can cause conflicts. Also, a conflict arose when one residents wanted to take capital(land) back from the artist as seen in “nonart butart”. However, a couple of successful projects, such as “dorongi house”, imply the possibility of Korean community art when an artist’s ability to communicate can overcome these complications.
목차
1. 문제의 제기
2. 논의의 배경
3.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4. 분석 결과 : 여섯 가지 갈등 사례 분석
5.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국의 문화융성정책에 내제된 문화정체성의 비판적 소고
- 뉴스통신사의 빅데이터 저널리즘 활용방안 연구
- Nondisabled People Talk About Disability and Disabled People
- 공공의 예술인가, 예술의 공공성인가?
- 3D 영화에서의 P.O.V 연구
- 인터넷 포털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영역에 대한 공중 평가가 포털 사이트 신뢰도, 선호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언론의 정파성과 국가이익
- 융합 미디어 시대 시청자미디어센터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연구1
- 영상 콘텐츠 교육의 수행평가 연구
- 한국 리얼리티 오락 프로그램의 포맷구성 요소가 중국 시청자의 시청효과에 미친 영향 연구1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