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vestigati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English language learning experience and L2 selves
- 발행기관
-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구 영남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유정원(Yoo Jung Won) 신동일(Shin Dong Il)
- 간행물 정보
- 『영어교육연구』제28권 3호, 107~13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how four Korean university students’ L2 (second language) selves differ from and expand on their experiences of English language learning and use. It also investigates their own definitions of successful language learners.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semi-structured interviews, weekly journals and a self-assessment questionnaire. This study found three perceptions of four Korean university students’L2 selves as (un)successful: (1) After successfully experiencing TOEIC-taking success and necessary communicative skills, an ought-to L2 self as unsuccessful was possibly transformed into an ideal L2 self as successful; (2) Whenhigh TOEIC scores were not successfully acquired, an ought-to L2 self was negatively reinforced; and (3) the participants who have formed an ideal L2 self to communicate in authentic English struggled to accept a newly constructed test-taker identity. It was found that their L2 selves have changed over time and space. The hegemonic mediation occurred between ideal and ought-to L2 self when co-existing selves were in conflict, or in needs of negotiation.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과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Grammatical Competency or Pragmatic Competency : An Examination of the Language Features Related to Proficiency Scores in Oral Interviews
- Morphological Awareness in Reading Comprehension : A Secondary Analysis
- 어휘크기와 깊이가 영어 읽기이해 능력에 미치는 영향
- 한국인 대학생의 영어학습 경험과 제2언어 자아 연구
- “I am a Teacher in General, not an English Teacher” : Four Korean English Language Teachers’ Perceptions
- 한국 성인 학습자의 영어에 대한 요구 조사 : K사이버대학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