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Morphological Awareness in Reading Comprehension : A Secondary Analysis
이용수 44
- 영문명
- 발행기관
-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구 영남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Han Suk Bae
- 간행물 정보
- 『영어교육연구』제28권 3호, 1~1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9.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Secondary analysis is beneficial to find further information and to get a meta-analytic thinking. Once means, standard deviations, sample sizes, and matrix summaries are provided, secondary researchers are able to conduct every correlational analysis in general lineal modeling. An exemplary secondary analysis was conducted in the present study to find practical significance of the effect sizes across studies on the role of morphological awareness (MA) in reading comprehension. Based on specific inclusion and exclusion categories, 10 studies were selected which generated 25 effect sizes in total. Secondary commonality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MA effect on reading comprehension was unique from the vocabulary effect. However, the effect sizes for the unique MA effect were generally smaller than the common effects of MA and vocabulary. Importantly, the unique MA effect on reading comprehension was varied according to the learners’ grade level, L1 backgrounds, and types of morphological tasks included.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recommendations were discussed.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THE PRESENT STUDY
Ⅳ. METHOD
Ⅴ. RESULTS
Ⅵ. DISCUSSION AND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Grammatical Competency or Pragmatic Competency : An Examination of the Language Features Related to Proficiency Scores in Oral Interviews
- Morphological Awareness in Reading Comprehension : A Secondary Analysis
- 어휘크기와 깊이가 영어 읽기이해 능력에 미치는 영향
- 한국인 대학생의 영어학습 경험과 제2언어 자아 연구
- “I am a Teacher in General, not an English Teacher” : Four Korean English Language Teachers’ Perceptions
- 한국 성인 학습자의 영어에 대한 요구 조사 : K사이버대학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