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들의 두피·모발관리행동
이용수 180
- 영문명
- Behaviors on Scalp and Hair Care of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현가영(Ka Young Hyun) 전현진(Hyun Jin Jeon)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17권 제3호, 93~105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9.2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awareness of scalp and hair, interest in hair, dietary habits and hair care behaviors depending on demographic features (gender, sleep habits, diet, daily habits and interest in health) and the difference of scalp features by gender with college students in Gwangju. To this end, th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students at 4-year colleges in Gwangju. Four hundr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rom March 20 to April 15, 2015 and 396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4 questionnaires with missing values were not included in the data analysi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for Windows 18.0 statistics packag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ronbach s Alpha analysis, t-test and F-test were executed. A Duncan test was used for a posterior test.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scalp and hair care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4 factors: awareness of scalp, interest in hair, dietary habits and hair care behaviors, and scalp and hair care behaviors depending on demographic features (gender, sleep habits, diet, daily habits, interest in healt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art.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e awareness of college students on hair and scalp care and the problems in such cares. For keeping healthy and beautiful hair and improving hair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results, it is required to make college student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calp and hair care and effective care method by education on the proper life style and care and scalp and hair care for enabling them to easily care scalp and hair by themselves. The following is the proposal on the effective scalp and hair care methods for college students. At first, it is necessary to select the products suitable for each one s scalp and hair, use after reading the instructions and cautions on the hair care products and clean hair using proper shampooing method and water at proper temperature. Next, it is required to eliminate dirt and waste from scalp and hair before shampooing and properly brush hair for accelerating blood circulation and eliminating hair in telogen. It is also necessary to massage using the hair care product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및 고찰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상매체에서의 메이크업과 캐릭터 이미지 지각반응
- 범이론적 모형을 적용한 손톱건강증진행위가 변화단계에 미치는 영향
- 화장품 산업의 마케팅 믹스 전략이 소비자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 근신경등척성수기요법(MNIT)이 중년여성의 신체조성 및 혈관탄성에 미치는 영향
- 연잎, 부평초의 항산화, 항염증 및 방부 효과 연구
- 국내 한방화장품 광고 이미지에 나타난 한국 미 연구
- 할랄(Halal) 인증제도 분석을 통한 국내 화장품의 이슬람권 시장 진출방안
- 네일서비스 7Ps 요인이 네일샵 만족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보웬테라피가 목통증에 미치는 효과
- 쿠사마 야요이(Kusama Yayoi)의 조형성을 응용한 네일 디지털 디자인에 관한 연구
- TV홈쇼핑 채널특성이 만족도 및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뷰티상품을 중심으로-
- 대학생들의 두피·모발관리행동
- 헤어 커트 서비스를 위한 커뮤니케이션의 단어적 인식차이가 고객 만족에 미치는 영향
- 헤어컬러디자인 실무를 위한 스토리텔링 교수학습 모형 개발
- 피부관리사의 회복탄력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모발인지에 따른 모발화장품 사용실태와 모발보호제 효과
- Torilis japonica (Houtt.) DC. (Sasangja), Angelica tenuissima Nakai (Gobon), Cimicifuga heracleifolia Kom.(Seungma), Aconitum pseudolaeve Nakai (Jinbeom) 추출물의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에 관한 연구
- 신윤복의 풍속화를 응용한 패션과 헤어 일러스트레이션 연구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수록 논문의 연구동향에 대한 계량서지학적 분석
- 네일 서비스 종사원의 인적 특성이 신뢰 및 고객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