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 of Percentage of Correct Consonants and Nasalance Score on the Speech Intelligibility and Acceptability in Adults with Dysarthria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장선정(Seon Jeong Jang) 최현주(Hyun Joo Choi)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재활복지 제20권 제3호, 67~8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9.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표준문단 읽기 과제를 사용하여 얻어진 동일한 말샘플을 통하여 마비말장애 성인의 자음정확도와 비음치가 말명료도 및 말용인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마비말장애 성인 10명과 일반 성인 16명이었다. 비음치 측정을 위한 과제로는 모음 연장, 구강음과 비강음 문장, 표준문단 읽기를 사용하였으며, 동일한 표준문단을 사용하여 자음정확도를 측정한 후, 평정자 20명에게 시각적 아날로그 척도를 사용하여 말명료도, 말용인도를 평정하게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강음과 비강음 문장, 표준문단에서는 마비말장애 성인 집단의 비음치가 일반 성인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모음연장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마비말장애 성인의 자음정확도는 말명료도 및 말용인도와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나, 비음치는 말명료도 및 말용인도와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자음정확도를 통제한 상황에서도 비음치는 말명료도 및 말용인도와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셋째, 회귀분석 결과 마비말장애 성인의 자음정확도가 말명료도와 말용인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마비말장애 성인의 자음정확도는 말명료도, 말용인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나, 비음치는 말명료도 및 말용인도와의 상관이 유의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 and effect of PCC(Percentage of Correct Consonant) and nasalance score on the speech intelligibility and acceptability in adults with dysarthria by reading task of standardized passage. Ten adults with dysarthria and sixteen normal adul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PCC and nasalance score were measured through reading task of standardized passage. And, speech intelligibility and acceptability were examined using visual analogue criteria. The result of the study was as follows. First,
the nasalance score of adults with dysarthria group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normal adults group in reading sample by standardized passage. Second, the PCC, speech intelligibility and acceptability shows significant correlation. However, the nasalance score doesn’t show significant corelation with speech intelligibility and acceptabil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PCC is closely related to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 but nasalance score is not related to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각장애인 안마사의 건강관련 생활양식에 관한 연구
- 마비말장애 성인의 자음정확도와 비음치가 말명료도 및 말용인도에 미치는 영향
- 지체장애인의 운동참여와 심박변이도(HRV), 표정정서인식력과의 관계
- 장애노인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 치매노인의 일반적 및 병리학적 특성에 따른 인지기능, 일상생활동작, 삶의 질의 비교연구
- 신체활동 프로그램 참여가 장애아동의 이동운동능력에 미치는 효과 : 메타분석
- 삼킴 장애가 있는 뇌졸중 노인 환자에서 저항성 고개 숙이기 운동과 Shaker 운동의 목뿔위 및 목빗근 활성 비교
- 장애인 보호자 및 탑승자를 대상으로 한 장애인 복지차량 사용성 평가 연구
- 뇌성마비 아동의 능력, 수행능력, 수행 간 상관관계
- 일차 진행성 실어증에 대한 최근 10년간 연구 동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심리상담전공 학부생 직무역량강화 방안: 외상인식기반 케어의 적용을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자폐성 장애인의 음악창조 활동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성인 발달장애인 부모의 사회적 지지가 돌봄 부담에 미치는 영향 : 장애수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장애인의 주거불안 유형과 대응에 관한 경험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