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인의 문화적 특성과 위험인식
이용수 451
- 영문명
- Cultural Peculiarities and Risk Perception among Korean People -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 and the Moderating Role of Risk Types -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Jung eun Yang Soo Ji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12 No.6, 143~16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문화와 위험인식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확장하여 감정변수와 맥락변수가 위험인식에 미치는 문화의 영향력을 어떻게 매개하고 조절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위험 상황에서 한국인들이 가진 체면이나 우리와 같은 문화적 특성은 공포, 분노, 연민과 같은 감정을 유발하고 이러한 감정들 중 공포의 감정은 위험인식으로 이어졌다. 또한 위험 유형에 따라 감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문화 변수에 차이가 나타났다. 정부 책임성이 높은 위험 상황에서는 체면이, 정부책임성이 낮은 위험상황에서는 우리가 감정유발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연구결과의 학문적, 실용적 함의를 논의하고 향후 연구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study extends the current studies about the association between culture and risk perception by defining emotion as a mediating variable and risk types as a moderating variable. Our findings show that Koreans have emotional reactions when they face risky situations. We find that cultural peculiarities such as Chemyon , which means concerning their reputations, or Uri , which means collectivism, are strongly associated with emotional reactions such as anger, sympathy, and fear under the risky situations. Among the emotions, fear is related to risk perception. The risk type moderates the level of influence of culture on emotion and risk perception. While if risky situations are understood as government-responsible, Chemyon plays a stronger role in initiating emotional reaction, if the risky situations understood as relatively less government-responsible, Uri plays a stronger role in emotional reactions.
목차
Abstract
Ⅰ. 문제제기
Ⅱ. 문헌연구
Ⅲ. 연구문제
Ⅳ. 방법론
Ⅴ. 연구결과
Ⅵ. 결론 및 함의
References
국문초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P형수신기 사용자회로의 전기전자구성부품에 대한 고장모드영향분석
- 재난으로 인한 외상성 상실에 대한 추모 현상 분석
- 시뮬레이션 기반 통합실습교육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 식품소비자의 낙관적 편향이 불안감에 미치는 효과분석
- 환경안보를 위한 군 환경교육 강화 방안
- 대규모 재난에 대비한 사회기반시설(SOC)보호 체계 발전방안
-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전공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 한국인의 문화적 특성과 위험인식
- 국내 정신건강 분야의 재난 연구동향
- 교량 부재에 작용하는 풍속 측정을 위한 풍압센서 적용
- 성인 남녀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음주행태의 매개효과
- 진화 게임 이론을 통한 세월호특별법 입법과정 분석
- 저출산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결혼과 육아에 관한 조사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