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가족문화유산에 대한 인식과 가족정책적 시사점

이용수  70

영문명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n Family Cultural Heritages and Its Implication on Family Policies
발행기관
신라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
저자명
김향은(HyangEun Kim)
간행물 정보
『젠더와 사회』여성연구논집 제24집, 35~54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건강가정을 지원하는 가족정책을 강화하는 방안 가운데 하나로 가족문화유산에 주목하여 대학생들의 인식을 통해 그 가치와 필요성, 정책적 시사 점을 살펴보았다. 107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가족문화유산은 세대에서 세대로 이어 온 유형•무형의 가족 전통이나 문화, 유물의 개념으로 이해되고 있었다. 또한 가족문화유산은 대학생들에게 긍정적인 느낌으로 연상되고 있었고, 그 기능과 가치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학생들이 현재 자신의 가정에서 보유하고 있는 가족문화유산은 가족 유 물, 가족 가치, 가족 활동, 가족 관계의 범주로 분류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유산에 대한 대학생들의 견해는 대부분 긍정적인 정서와 평가로 요약될 수 있었다. 앞으로 이들이 자신의 가정을 갖게 될 경우 옛 유산을 보존할 것인지 아니면 새로운 유산을 창출할 것인지와 관련된 계획과 그 이유에 대해 알아본 결과. 절반 이상의 응답자가 현존하는 가족문화유산을 계승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의 약 1/3은 자신만의 새로운 가족문화유산을 갖고 싶어 했으며, 응답자의 약 1/9 은 기존 유산과 새 유산을 함께 갖고 싶어 했다. 이들이 유지하거나 새로 만들고자 하는 가족문화유산의 유형은 그 가치가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었으며, 이들의 현존하는 가족문화유산과 같이 가족 유물, 가족 가치, 가족 활동, 가족 관계의 차원으로 분류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건강가정을 지원하는 가족정책을 강화하기 위한 차원에서 고려할 만한 유의미한 시사점 을 도출하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예비 가족생활교육의 강화, 가족문화유산 의 개발을 통한 건강가정 지원의 활성화, 가족문화유산 운동의 사회적 확산과 이를 위한 총체적 지원, 향후 가족문화유산을 매개로 한 건가가정 지원의 강화를 돕는 연구기반의 구축에 대해 논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future generation’s perception on family cultural heritages(FCHs). 107 college students we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They answered to the questions of general perception on FCHs, the present state of their FCHs and their planning of transmission of the present FCHs or creation of their own FCHs. The subjects perceived FCHs as unique tradition or convention that has been passing down. Their feelings or emotions about FCHs were very positive like love, trust, gratitude, happiness, joy, precious, etc. They appreciated it’s significant functions as an effective source of family intimacy, cohesion, communications, sharing, support. They set a hight value on FCHs evaluating it necessary, important, valuable, treasure, special, should have handed down, etc. The present FCHs of the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family legacy, family values, family activities, family relationships. The subjects had positive feelings and appreciation on their present FCHs. Half of the subjects wanted to keep and deliver their present FCHs since it’s functional and significant. One third planned making their own FCHs when they have their own family. The lists of the new FCHs were more diverse including child supportive envi-ronment, family volunteering, economically stable environment, generally, they were similar with those the half subjects wanted to hand over though.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implications on family policies focused on supporting health family development and further studies in the field were discussed.

목차

초록
Ⅰ. 문제 제기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향은(HyangEun Kim). (2013).대학생의 가족문화유산에 대한 인식과 가족정책적 시사점. 젠더와 사회, 24 , 35-54

MLA

김향은(HyangEun Kim). "대학생의 가족문화유산에 대한 인식과 가족정책적 시사점." 젠더와 사회, 24.(2013): 35-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